A Study on the Product differentiation Process by the Structuring of Design Factors

디자인 인자의 구조화에 의한 제품 차별화 프로세스 연구

  • 김현 (고려대학교 미술학부)
  • Published : 2000.05.01

Abstract

In this study design information was separately defined form general product information and thus factors reflected in product design ion the basis of values and roles were extracted. The following is a classification of 5 different types of design factors divided according to their disposition. ·Innovation factor - element which previously did not exist or element related with explicit reformation ·Open factor - active element which not only improves current performance but also induces new functions through understanding of usage situations and new possibilities. ·Anterior factor - element which prolongs and develops the early development requirements of products through C.I. and P.I. related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previous models and design strategy. Self-evidence factor - element related with function visualization through product structure which may make possible the consolidation of shape and function. Rigid factor - element, based on the human factors engineering, related with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users. This classification was obtained by defining major characteristics of products considering the target consumer and market characteristics. In this classification factor structuring design process which efficiently deducted a differentiated final product by synthesizing factors of higher importance as dominant factors was proposed. With this kind of factor structuring process, product differentiation may be achieved by bestow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each product by combining design domina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oduct for a specific purpose from the stages of product concept development. Moreover, this may be used as an approach to actively correspond to the various and specific demands of the comsumer.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의 환경 및 관련 정보가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디자인 프로세스를 다변화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제품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로부터 디자인 정보를 구분하여 정의하고, 이로부터 제품디자인에 반영될 인자를 그 가치와 역할에 근거해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디자인 인자로 분류하여 규명하였다. .혁신인자(innovation factor)-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요소나 뚜렷한 개선에 관계된 요인 .개방인자(open factor)- 사용유형의 현황과 새로운 가능성의 파악을 통해 현재의 기능에 대한 개선 뿐 아니라 새로운 기능을 유도하는 적극적 요인 .선행인자(anterior factor)- 공유시스템, CIPD, 디자인 전략 등과 관계되어 조건설정에 미리 관여함으로써, 기획 및 초기 요구조건을 지속, 발전시키는 요인 .자명인자(self-evidence factor)- 형태와 기능을 합일시키는 것으로, 제품구조를 통한 기능의 시각화와 관련된 요인 .절대인자(rigid factor)- 인간공학을 기초로 사용자의 효율성, 특히 안전성에 관계된 요인 이와 같은 디자인 인자는 목표고객이나 시장의 특성과 관련되어 제품의 개발 초기 단계부터 제품의 주요 성격을 규정하면서 해석되어진 분류이다. 이 해석 과정에서 중요도가 더 높은 인자를 지배인자로 합성하여 차별화된 결과물을 효과적으로 도출케 하는 인자 구조화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디자인 인자 구조화 프로세스는 제품의 개념 개발과정에서 제품과 관련된 디자인 지배인자를 목적에 따라 조합하여, 제품에 각각의 특징을 부여하여 제품을 합리적으로 차별화b할 수 있으며, 다양하고 구체적인 소비자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접근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