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avorite proportion which of a square by two horizen lines and two vertical lines

두 개의 수평선과 두 개의 수직선에 의한 면의 선호비례 연구

  • 이한성 (대전산업대학교 산업디자인학부) ;
  • 김진용 (대전산업대학교 산업디자인학부) ;
  • 오현경 (대전산업대학교 산업디자인학부)
  • Published : 2000.11.01

Abstract

Is golden proportion, which has been classical beauty among aesthetic rules and orders, avaiable in the present \ulcorner or Does ${\surd}$rectangle proportion replace the classical proportion \ulcorner It is a main theme in this thesis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This study is basically about favorite proportion in the field of fine art, architecture and design. For this study, 2oo students participate in the answering to the questionnaire. The conclusions which result from the above surveys are as follows ;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 is the preference of ${\surd}$2 rectangle to other ${\surd}$rectangles. The second result is the preference of golden proportion as 1 : 1.618 to ${\surd}$2 rectangle as 1 : 1.414. This survey proves that ${\surd}$rectangle proportion as modern proportion does not substitute the golden proportion with the classic proportion.

아름다움을 향한 미적 규칙과 질서들 가운데에서도 특히, 고전적인 비례인 황금분할비례는 현재에도 유효한 것인가\ulcorner 또한 현대산업화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기능적인 ${\surd}$직사각형 비례가 이전의 아름다움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인가\ulcorner 가 본 연구의 중심이다. 디자인 전공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1차 현대적 비례인 ${\surd}$직사각형의 기본등비수열들의 비교조사와 2차 ${\surd}$직사각형과 황금분할비례의 선호비례조사 등 2차에 걸쳐 전개된 설문의 결과는 ${\surd}$직사각형들의 비례에서 1 : 1.414의 ${\surd}$2직사각형 가로비례에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황금분할비례와 대비한 선호도에서는 황금분할비례가 약간 우수한 선호율을 나타냄으로서 경제적 효율성을 갖는 기능적인 비례인 ${\surd}$2직사각형 가로비례가 고전적 미적 기준인 황금분할비례를 대체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