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sustainable Design Direction for a City Commuter Vehicle

씨티 커뮤터 자동차를 위한 지속 가능한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 조원철 (한동대학교 산업정보디자인학부)
  • Published : 2000.08.01

Abstract

This thesis is about design spirit demanded by the 21st century vehicle design studied in consideration of city commuter. First of all, going over the transition of the last century vehicle design led to the arrangement of the changes in vehicle models. Even though the invention of vehicles brought about immense improvement in living standard of the people, it also brought about other factors that were harmful for human living. Through this realization the main fact that should be emphasized is that the vehicles in 21s1 century should not be a threat to the human life or be the main cause for the environmental pollution of the earth. With the question as to whether the vehicles development direction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2000 like the Retro design and Hybrid-Compact car development is appropriate to these demands, the development of City Commuter vehicle (the most human and environment-friendly concept which can also serve as the connecting means in transportation system) and its case studies were compared. Through this, the design spirit that should be inherent in environment and vehicle human and vehicle relationships and the design factors needed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vehicles were arranged.(classified) Rather than suggesting a new direction for the specific style for vehicle design, this thesis is to emphasize that to improve the standard living of the people with vehicle as a product that will be continually produced in the 21st century, the morals and the mission of the designers about the environment and humanity recovery should be the core of the active movement and education of vehicle design.

이 논문은 21세기의 자동차 디자인에 요구되어지는 디자인의 정신성을 씨티 커뮤터(City Commuter) 자동차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먼저 지난 한 세기의 자동차 디자인 변천에 대한 정리를 통해 자동차 조형 변화의 흐름을 정리하였다. 자동차가 발명된 이후 인간 생활의 질적 향상을 가져다준 많은 플러스 요인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자동차로 인해 인간다운 생활에 위협을 주는 역기능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음을 상기함으로서 21세기의 자동차는 더 이상 인간의 삶에 위협이 되거나 지구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2000년대 초기의 자동차 개발 방향의 핵심인 복고디자인, 하이브리드 그리고 소형자동차의 개발은 과연 이러한 요구에 합당한 것인가라는 질문을 전제로 운송시스템과의 연계 수단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장 인간과 환경에 친화적인 컨셉트인 씨티커뮤터(City Commuter) 자동차에 대한 개발 및 연구 사례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환경과 자동차, 인간과 자동차의 관계성에 내재되어야 할 디자인의 정신성과 자동차의 지속 발전에 필요한 디자인 고려 사항들을 정리하였다. 본 논문은 자동차 디자인의 구체적인 스타일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기보다는 자동차가 21세기에도 지속 가능한 제품으로서 인간 생활의 편익을 지속 증대시키기 위해서 환경과 인간성 회복에 대한 디자이너의 윤리와 사명이 자동차 디자인의 활동과 교육의 중심이 되어야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