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Management as a Working Resource for the Activation of Small business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한 경영전략으로써의 디자인 매니지먼트

  • 이수봉 (동아대학교 산업디자인전공) ;
  • 홍철순 (경남정보대학 산업디자인계열)
  • Published : 2000.08.01

Abstract

This paper is designed to make a research into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and introduction of design management system necessary for the strategic utilization of design at a management love on the part of domestic small business. This paper is limited to the study of the general problems ralated to the design management of the domestic small business companies producing consumer goods. 1 made an examination of the necessity of the introduction of design management and of the necessity of design development in connection with the administrative features of small business, identifying the actual condition of design by the small business and discussing the actual situation of design management and tasks to tackle. lastly, 1 made a suggestion of the process, whose aim lies In the inside establishment of the design management system deemed desirable for the domestic companies. 1 have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mall business should make use of design development so as to keep their competitiveness and to enhance their administrative features. Second,. design can serve as a means for making a speedy response in the companies'differentiation strategies arid strategies for markets with a lot of opportunities. Third, the utilization of design at an administrative love on the part of the small business works in the light of enterprise communications, organizations, business and marketing and so on. Fourth, the majority of small business are weak when it comes to organization, manpower and environment in relation to design. So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d construct the design management system. Fifth, the managers of the small business should first of all take a strong interest in and have a renewed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design. I made a suggestion that the small business should carry out a process constructing the design-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design organization and manpower, but stopped short of confirming my suggestion in a corroborative way.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이 디자인을 경영레벨에서 전략적으로 활용하는데 필요한 디자인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구성과 도입 프로세스의 연구에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범위는 소비재를 생산하는 국내 중소제조업의 디자인 매니지먼트에 관한 제 문제로 국한시켰다. 그리고 연군방법은 중소기업의 경영특성 및 경영환경과 관련시켜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과 디자인 매니지먼트 도입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과 중소기업의 디자인 활용실태를 파악한 후 디자인 매니지먼트의 현황 및 해결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중소기업에 바람직한 것으로 사려되는 디자인 매니지먼트의 시스템을 사내에 정착시키기 위한 프로세스에 대해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1) 중소기업은 경영적 특성을 살리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디자인개발의 활용이 요구된다. (2) 중소기업의 제품차별화 전략이나 틈새시장 전략에 디자인은 신속하게 대응 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3) 중소기업이 디자인을 경영레벨에서 활용할 경우, 기업 커뮤니케이션.기업조직.사업 및 마케팅 둥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4) 국내 중소기업 대다수는 디자인 조직.인력.환경 등 모든 디자인 활동이 취약하여, 디자인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도입 및 구축이 요구된다. (5) 국내 중소기업이 디자인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경영자의 디자인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과 강력한 관심이 선행되어야 한다. 연구의 최종 결론으로서는 국내 중소기업이 디자인 조직 및 인력을 베이스로 한 디자인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하였으나,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까지 연구하지는 못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