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인지과학)
- Volume 12 Issue 1_2
- /
- Pages.43-54
- /
- 2001
- /
- 1226-4067(pISSN)
Implicit Representations of Social Categories: Asymmetrical Priming Effects on Gender Stereotype
사주적 범부의 암묵적 표상 구조: 성별 고정관념의 비대칭적 점화효과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mplicit structure of gender-stereotype which is one of the social categories. Social categories were considered to have the more evaluative properties and unclear hierarchical representations compared to the objects or the action categories. In this series of experiments. we want to examine the generalizability of the congruent effect into gender-stereotype using a priming paradigm and introducing the various SOA (stimulus onset asynchrony. SOA 250ms to 1000ms). The results of Experiment 1 and 3 (SOA 250-500ms) showed that the priming effects of female-female condition was larger than the other conditions. However. Experiment 2 (SOA 1000ms) showed that the priming effects among the conditions disappeared. We found the female-congruent effects only in a short SOA.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gender-stereotype in the automatic and implicit processing level can be represented b by the cross-categorical structure in some cultural area.
본 연구는 사회범주인 성별 고정관념의 암묵적 표상 구조의 특성을 살펴보기위해서 실시되었다. 사회 범주는 일반대상이나 행위의 범주에 비해서 속성의 비중이크며, 그 표상 구조도 분명하지 않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세 개의 실험에서 성별 고정관념의 평가적 속성을 통제하여 암묵적 표상의 구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각 실험은 점화-목표 자극쌍의 SOA 조건을 변화시켰다. 그 결과 짧은 SOA(250-500ms, 실험 1과 실험 3)에서의 여성-여성 단어쌍의 남성-남성 단어쌍이나 교차 자극쌍에 비해서 점화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반면에 긴 SOA(1000ms, 실험 2)에서는 단어쌍 조건간의 점화효과의 차이가 사라졌다. 사회 범주로의 성별 고정관념은 암묵적 수준에서는 여성과 남성의 범주 대비가 분명하지 않았으며, 여성 범주가 남성범주에 비해서 속성간 점화효과가 크지 않았다. 이는 두 범주가 비대칭적으로 표상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