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lor Palette for Planning Exterior Colors of the Apartment in Seoul Area

서울지역 아파트 외장색채 계획을 위한 색채팔레트

  • 박영순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
  • 신인호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연구원)
  • Published : 2001.02.01

Abstract

Apartment exterior colors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images of cities and communities. Therefore planning the apartment exterior colors have to proceed systematically and synthetically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this research, the first step is to investigate the apartment exterior colors which is located around the Han River in Seoul. And the second step is to survey the images of the S construction company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rends of apartment exterior colors on the basis of 1996 are showed differently. Bright and high saturation colors are more used after 1996, and divers color combinations are more tried than before. 2. Common customer Has positive images about the S construction company such as young, fresh, confidence and smart. Also they want the other images such as comfort, ease and coziness. 3. Two color combination palettes were proposed in this research. The first color combination is blue and yellow which is based on the dear and smart images. And the second color combination is green and orange which is based on the comfort and ease images.

아파트의 의장색채는 도시의 이미지와 지역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히 크므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차원의 색채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미 지어진 아파트의 의장색채 실태를 파악하고 건설사의 이미지를 조사하여 바람직한 아파트 의장색채 배색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의장색채 조사대상으로는 서울시 아파트 중 한강변에 위치한 아파트의 현황 및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건설사의 이미지 조사를 위하여 아파트에 5년 이상 거주한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물산에 근무하는 사원 77명을 대상으로 5아파트의 지향 이미지를 조사하였다. 아파트 의장색채의 사용경향을 1996년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살펴 본 결과, 1996년 이후에는 전반적으로 자고 고채도의 색들이 사용되었으며, 배색면에서도 단색이나 유사색 보다는 다양한 유채색배색들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이나 RP계열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사의 이미지 조사결과, 일반 소비자들은 S사에 대하여 전문성은 다소 떨어지나 신뢰할 수 있으며, 젊고 산뜻하며, 신선한 이미지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깨끗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편안하고 안락한 이미지를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두 가지 방향의 색채팔레트를 제시하였는데, 첫 번째는 깨끗한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여 파랑과 노랑의 배색을 제안하였으며, 두 번째는 편안하고 안락한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여 초록과 오렌지의 배색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