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ackage design approach on sensitive

감성소구에 있어서 포장디자인 연구- 베이커리 제품 중심으로

  • Published : 2001.05.01

Abstract

Dietary life is said to be consummated even to a phase of art from phase of survival, recognition, selection and preference. Dietary life, from a sheer earing, is now transforming itself into a joy, and therefore, function of foodstuff packaging demand diversification rather than a simple packaging. Recently, socio-economic environment is showing conspicuous changes in that there are increasing number of working couples nuclear family, old-age population, social activity and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Such a change in the living environment has much impact on our dietary life. Particularly, an age when cake and cookies of western origin were all but strange is gradually phasing out, while it is deemed to be improper to overlook the fact that bread and cakes are solidifying their position as part of foodstuff meanies for on dietary life. Of cakes and cookies, cakes have come to enjoy a position whereby they are regarded as part of an imperative for family banquets, various get-together and birthday celebration, etc., with a significant improvement that caters to our taste vis-a-vis an stage of introduction of cakes. At the time when reined foreign bakeries, one after another , are contemplating to make an inroad into Korea, and when the distribution market is to be opened fully in July of 1993, Korea bakeries that have been building up their position within the domestic market are expected to face a considerable number of difficulties. Accordingly, under such circumstances of the time text we are in it is attempted in this study to map out measures that may contribute to the strengthening of the products of business enterprises and improvement of corporate image that may appeal to feeling and emotions of consumers packaging that could attain objectives, and package design planning that, as an important factor for playing its own share in the restoration of humanism that is being alienated, may appeal to consumer sensitivity, rather than packaging that is being utilized merely as tool designed for marketing

식생활의 단계는 생존(Survival), 인지(Recognition), 선택(Selection) 그리고 기호(Reference)의 단계에서 예술(Art)의 단계로까지 승화한다고 한다. 식생활도 먹는 일에서 즐거움으로 변화하고 있고, 식품포장의 기능은 단순한 포장보다는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고 있다. 최근 평균적인 생활수준 향상등 생활환경의 변화가 현저히 나타나고 있고 이 같은 생활환경의 변화는 우리 식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정부의 유통개방정책에 즈음하여 속속 외국의 유명 베이커리가 국내 시장에 진출을 고려하고 있고, 、93년 7월 유통시장의 완전개방 이후 국내시장의 베이커리업계의 많은 어려움이 있다. 제품디자인이나 포장디자인 분야는 선진국의 경우를 답습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앞으로의 시장에 대한 업계의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시기일 것이다. 즉 우리실정에 맞는 제품과 포장디자인의 강화된 상품력으로 시장에서 확고한 소비자 거점을 확보해 놓는 일을 서둘러야 한다. 기업의 목적을 위한 수단은 마켓팅, 생산, 판매에 의해 성취 될 수 있다. 이것은 각각의 전략을 필요로 하고 마켓팅 전략 역시 광고선전, 판매, 포장 등과 연계되어 생각되어야 한다. 이중에도 포장은 Marketing Mix의 가장 중요한 도구중의 하나이다. 그것은 시장에서 생산자의 포지셔닝과 판매후의 역할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모든 분야가 합리화, 과학화되어 가는 현대의 시장에서 경쟁사간의 마케팅 전쟁은 끊임없이 되풀이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시대적 환경 속에서 포장이 마케팅의 수단이나 도구로써 존재하는 것이 아닌, 소비자의 심리를 자극하는 포장디자인의 진정한 목표달성을 위한 패키지로, 또 도외시되어 가는 휴머니즘의 회복에 중요한 요소로써 제몫을 하기 위해 소비자 감성에 소구할 수 있는 포장디자인 계획으로 기업의 상품력 강화나 이미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