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dio-visual Interaction and Design-education in the Age of Multimedia

시청각 상호작용과 멀티미디어 시대의 디자인교육

  • 서계숙 (대전대학교 예술학부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
  • Published : 2001.08.01

Abstract

The communication designer in the multimedia age should have a consideration that the sound also can be an important expression element to transmit ones thought as well as the visual sense like color, shape and motion. As you already know, someones thought can be better understood when transmitted to others using the visual and auditory senses together than using the visual or auditory sense alone. The meeting of sight and hearing bases on the synesthesia. For example, low sound reminds a person of dark color and high sound usually reminds light color. And a percussion instrument reminds a person a circle and melody reminds a line. The visual and auditory senses In communication of the multimedia age should act as an independent expression element gotten out of the synchronizing that just serves simple sight and related sound at the same time. Interaction between sight and hearing arose a different emotion that cannot be happened just by one element alone. So, the programs of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in this multimedia age should fulfill the requirement that it can develop ones expression ability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interaction between sight and hearing.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education programs Classified into following categories; audio visual Gestaltung, audio visual moving graphics, audio visual design.

멀티미디어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이너는 색채, 형태, 시간, 움직임과 같은 시각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사운드까지도 메시지를 전달하는 표현요소로서 인식하여야 한다. 잘 알려졌다시피 시각이나 청각 어느 하나만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때보다 시청각을 조화시켜 메시지를 전달할 경우 인지도가 높기 때문이다. 시각과 청각의 만남은 공감각에 근거하는데 이것은 색채와 음, 형태와 사운드의 연상작용으로 나타난다. 기초적인 예를 들면 낮은 음은 어두운 색을 연상시키며 높은 음은 밝은 색을 연상시킨다. 또 타악기는 원을, 멜로디는 선을 연상시킨다. 멀티미디어에서 시각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는 이전의 시청각매체에서와 달리 단순히 보이는 장면과 관련된 소리를 들려주는 동시성의 수준에서 벗어나 각각 독립적인 표현요소로 작용하여야 한다 이렇게 독립적인 표현요소로서의 시각과 청각이 만나서 상호작용을 일으킴으로써 그 중 어느 하나만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새로운 감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멀티미디어 시대의 디자인 교육은 이렇게 시각과 청각의 상호작용의 원리를 이해하고 메시지를 시청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을 시청각 조형, 시청각 구성, 시청각 디자인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과제들을 예로서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