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ermenutic Study of Material Language in Contemporary Metal-craft - Centerd on June Schwarcz′s Color works -

현대금속공예에 있어서 물질언어의 해석학적 분석연구 -June Schwarcz′s 색채 구조물을 중심으로 -

  • 임옥수 (전주대학교 예체능·영상학부)
  • Published : 2001.08.01

Abstract

There are symbolicity and special meaning in the materials which are supposed to be used metalcraft from ancient to present. These are basical resources of hermeneutics and play a role as moaning elements. Generally, the precious Cold and Silver are mainly to be used with precious stone. But recently, ordinary materials like glass iron aluminum has begun to be used with them. Several artists are intentionally using them, and special skills which could be revealed by only the matherials are developing by them. In these skill, there are original material's texture and character of matter are looking like other matter. Well, special skills are adapted in these matters to magnify the possibility of expression, the originally codified meaning resources are disturbed. For example, The metal craft artist June Schwarcz is using the skills of electroforming, copper foiling, enameling, wire brush patina, fine wires fusing, etc. He is doing abstract forming and making various textures. And his works are very big size, and done by the skills of painting and sculpture. The outer form is very structural, special touches of the artists are heterogeneously mixed with the symbolic abstract expressionism color field. Further, there are mixed with Primitive original life atmosphere, Medieval ornamental aspect, Minimal, and Chaotic aspects. The meaning particles of these aspects are directly/indirectly joined but special skills and basic material languages are mixed together, the originally codified material language are disturbed. These disturbed material languages are becoming optically special effect and be illusion. It is making expressing way of tile metalcraft more fertile and be infinite.

고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금속공예에서 주재료로 사용되는 물질들에는 물질 자체가 지니고 있는 상징성과 특수한 의미들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상징성과 의미들은 금속공예를 해석하는 기본적인 단초가 되어, 의미소가 된다. 일반적으로, 금속공예에 사용된 물질들은 진귀한 물질들로서 금과 은이 대부분이었고, 여기에 어울리는 보석들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그다지 귀하지 않은 유리, 철, 알루미늄 등 일상의 물질들이 여기에 더하여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몇몇 작가들은 의도적으로 이러한 물질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들에 의해서, 이러한 물질들만이 드러낼 수 있는 특수기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법들 중에는 재료자체의 물질이 지니고 있는 질감이나 물성들이 전혀 다른 물질처럼 보이게 하는 경우도 있다. 다시 말하자면, 원형적인 물질 언어를 교란시켜서 새로운 물질처럼 보이게 하여 표현의 가능성을 확대 하고 있다. 이러한 예로서, 준 쉬와르츠는 주로 전해주조, 박공, 에나멜 산화기법, 녹청 착색 .. 등 매우 다양한 금속공예의 방식을 적용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작가이다. 그의 작품은 일반적인 금속과는 달리, 형태가 매우 추상적이며, 다양한 질감이 드러나 있으며, 규모는 조각처럼 스케일이 크고, 표면처리 방식은 대단히 회화적이다. 또한 외형은 대단히 구조적이며, 작가가 개발한 특수한 기법에 의한 터치가 드러나 있다 이러한 터치는 상징성이 짙은 추상표현주의적인 색상과 이질적으로 절충되어 있다. 나아가서, 프리미티비즘의 원생적인 분위기에서부터 중세의 장식적인 일면, 미니멀한 특성과 카오스적인 일면들까지 혼재해 있다. 작품을 구성하는 이러한 요인들은 금속의 고유의 의미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있으나, 특수하게 사용된 기법과 기초 물질언어가 혼재해 있어서, 그 원형적인 물질로서의 의미는 교란되어 있다. 이렇게 교란된 물질언어는 시각적인 특수 효과를 이룩하여 일루젼으로 작용한다. 그것은 금속공예의 표현법을 더욱 풍요롭고 무한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어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