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orporate and Product Image Alignment

기업 이미지에 정합적(整合的)인 제품 이미지 구축 방법

  • 김현 (고려대학교 미술학부)
  • Published : 2001.11.01

Abstract

In order to sustain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strategic product differentiation in global market,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ment of strategic design conditions for domestic manufacturing firms through the means of product image alignment and positioning, using visual character of product as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corporate image. Case studies on how globally successful multinational companies manage design strategy and corporate culture uniformly for coherent product image management are reviewed. To establish product image alignment methodology for manufacturing firms, the criteria for product image positioning and aligned product image development process are developed in three stages. First, in image positioning stage, it is important to set the direction for corporate image and design strategy by identifying consumer needs through market trends analysis and forecasting as well as comparative positioning of the analysis results of the firms's own corporate image and that of the competitor's. Second, in awareness building stage, before building the product image alignment, firm-wide shared awareness of differentiated corporate and product image, establishment of designer's role as the consolidated manager of product image, sharing form language, and building the infrastructure for defining form information should be preceded. Third, in managing the aligned product image stage, the condition for setting up image information management guideline, management of decision making process for arriving at logical decisions on product form, development of guideline for increasing efficiency and its evaluation system, and co-development of related design should be induced. Further research on the product image alignment with corporate image should be conducted through various empirical studies on image and form, building an information system of related design language, and continuous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applied solutions.

본 연구는 개방된 시장환경에서 이제 국내기업의 당면과제가 된 제품의 전략적 차별화를 위한 방법으로, 제품생산형 기업에서 기업 이미지 확립의 중요한 요인인 제품의 시각적 특성을 중심으로 제품 이미지의 포지셔닝과 이에 정합적인 제품이미지를 개발 및 관리하는 전략적 디자인 환경 구축을 목표로 한다. 먼저 선도기업의 기업문화와 디자인 전략의 일관성을 통한 제품 이미지 경영의 사례를 확인하고, 이와 같은 정합적 제품이미지 구축의 방법으로 제품 이미지 포지셔닝, 제품 이미지의 정합적 개발 및 관리의 프로세스와 각 과정의 조건을 제안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 이미지 포지셔닝 단계에서는 시장의 트랜드에 대한 분석과 예측을 통하여 소비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자사 이미지의 조사 분석에 의한 경쟁사와의 비교 포지셔닝을 통하여 기업 이미지와 디자인 전략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정합적 제품 이미지 개발을 위해서는 차별화 된 기업이미지와 제품 이미지를 위한 전사적 의식 공유, 제품 이미지의 통합조정자로서 의 디자이너 역할 부여, 조형언어의 공유, 형태 정보의 가시화 프로세스를 위한 제도적 환경 구축 등의 조건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정합적 제품 이미지 관리를 위해서는 이미지 정보 관리와 운영 지침 수립, 제품 형태의 합리적 결정을 위한 의사결정 시스템과 회의체 운영,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가이드라인 작성과 평가 시스팀의 구축, 관련 디자인의 동시적 접근이라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이미지와 형태에 대한 다양한 실험, 조형언어와 관련된 정보체계의 구축, :1리고 적용된 결과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과 관리 등 각 기업의 정체성에 맞는 제품 이미지 경영을 위한 세부적 지침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