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세장식타일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amboo Decorating Tiles

  • 조규춘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 발행 : 2001.11.01

초록

대나무의 시대적 사상 의미를 재분석하여 21C 문화산업 시대에 천연 소재로서 새로운 의미와 환경친화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대나무의 잠재유효성과 함께 미래 죽재산업과 죽세공예의 발전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죽매합판 및 대나무 모양지가 개발됨에 따라 지역 직능별 기술제휴로 시장 활성화를 꾀하고, 고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죽세장식타일을 개발하였다. 대나무 수종과 특성, 원자재 가공 및 표현 방법을 고찰하였고 급변하는 기술로 전통 기능과의 접목 표현상 기술(記述)적 오류를 재 규명하였으며, 죽재합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국내외 응용 개발 사례를 분석하였다. 죽세장식 타일은 대나무 모양지를 바탕으로 한 가구문(door)장식과 실내장식용으로 개발하였다. 문양 디자인은 한국 전통 문양으로 십장생의 장수, 새천년을 의미한 거북, 학, 사슴을 단순하게 패턴화하여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으며, 해, 산 시리즈는 대쪽의 바림 효과를 통한 빛살 이미지와 죽재질의 효과를 극대화했다. 卍 문양은 우주의 신비, 불교시찰 의미와 함께 전통 조각보완 칠교판 놀이, 아리랑 등의 이미지를 총합하여 한국 문양으로 장식성을 높였다. 죽세장식타일은 본 연구자의 20여 년 간 죽세가공 기술경험 축척과 담양 죽물공예단지 설비 및 가구 제작업체의 공조하에 이루어졌다. 현재 원자재 가공은 현지(담양) 설비를 이용하고 있으며, 시제품 개발과 함께 대학 내 디자인 벤처 '조선대방'에서 제작 납품하고 있다. 개발 제품은 가구 업체 주문에 의해 가구문에 장식되어 시판 중에 있다.

A new functional meaning has been given as natural resource to bamboo through reanalysis. Bamboo products contributed to creating added-value of pro-environment. In this study, a potential efficiency and vision of bamboo products and crafts are presented. As bamboo plywood and bamboo decorating paper were developed followed by academic and technological support, an activation of markets has been pursued and bamboo pattern tiles for new furniture was developed. This study examined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bamboo and processing of raw material and how to express with the material. Through advanced technology, it identified traditional functions and technological mistakes and analysed domestic and overseas applications to enhance utility of plywood made of bamboo. Bamboo pattern tiles were developed for decorating of furniture doors based on bamboo pattern paper. For patterns, 'tortoise, cranes, and deer'meaning eternity and new millenium among Ten Korean Longevity Animals are simply and lively represented. Series of the sun and mountain use effects of bamboo pieces to present bright images and to maximize quality of bamboo. A pattern of '卍'incorporates mystery of the cosmos and meaning of temples together with traditional patched wrapping cloth, Arirang and Chilgyopannori for beautiful ornamentation. Bamboo decorating tiles are made through accumulation of technologies by a cooperation with industries of bamboo equipment and production of furniture in Damyang Bamboo Products Complex. Processing of raw materials is peformed with equipment of Damyang. Development of samples and production and delivery of bamboo goods are handled in Design Venture of Chosun University Chamber. Developed goods decorating doors of furniture are in sale by an order from furniture industr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