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ucture of Text and Spatial Image - Focused on the Signification and Dramatic Space of ${\ulcorner}$the Sea-gull${\lrcorner}$ -

텍스트와 공간이미지의 구조 - "갈매기" 의 극공간 구조와 의미작용을 중심으로 -

  • 오경환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Published : 2001.11.01

Abstract

The public performance of drama has essence to convert text to visual images as stage and to represent, inform such visual images. Visual image is formed through a space as stage. Stage is a dish to fill the texts and is the mother's womb of visual image. Namely, visual image of drama equals space i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trial to grasp the structure and system represented through interpreting. Especially, the concerns of this study are not semiology of letter imported in image but spacial image text importing just contents of text and the process and contents grasping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dramatic space. Finally, this study proposed 'the system of space embodiment'from the semiotic point of view as interpretation methodology of actual memorial, symbolic space.

극의 공연은 희곡 텍스트를 무대라는 시각적 이미지로 바꾸어 표현하고 전달하는 것이 본질이다. 시각적 이미지는 두대라는 골간을 통해 형성된다. 무대는 시각적 이미지의 모태이다. 다시 말해서 극의 시각적 이미지는 결국 총체적인 공간이미지가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극텍스트의 공간이미지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해석해 보고, 그것을 통하여 구현되는 공간의 구조와 체계를 파악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특히 본고에서 관심을 갖는 것은 이미지 속에 도입된 문자의 기호학이 아니라 텍스트의 언술내용 자체를 도입하는 공간의 이미지텍스트, 극공간의 구조와 의미작용을 파악하는 과정과 내용이며, 결국 이를 통하여 텍스트 그리고 실제 기념적·상징적 공간의 해석방법론으로서 기호학적 측면에서의 '공간 구현의 체계'를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