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LSI 확산억제막으로 적합한 Ti-Si-N의 조성 범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mpositional range of Ti-Si-N films for the ULSI diffusion barrier layer

  • 박상기 (국민대학교 금속재료공학부) ;
  • 강봉주 (국민대학교 금속재료공학부) ;
  • 양희정 (국민대학교 금속재료공학부) ;
  • 이원희 (국민대학교 금속재료공학부) ;
  • 이은구 (조선대학교 금속재료공학부) ;
  • 김희재 (군사과학대학원 재료과학과) ;
  • 이재갑 (조선대학교 금속재료공학부)
  • 발행 : 2001.10.01

초록

Radio frequency magnetron sputtering방법으로 타켈의 Ti/si 조성과 $N_2$ 유량을 변화시켜 증착한 다양한 조성비의 Ti-Si-N 박막의 비저항 변화와 확산방지능력을 조사하였다. 높은 Si 함량을 포함한 Ti-Si-N박막내의 Si은 주로 비정질의 $Si_3N_4$ 형태로 존재하였으며 $N_2$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비저항도 증가하였다. 반면, 낮은 Si 함량을 포함한 Ti-Si-N박막은 낮은 $N_2$ 유량에서도 결정질의 TiN이 형성되었고 낮은 비저항을 나타내었다. 또한, 박막내의 N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높은 박막의 밀도와 압축응력을 갖는 Ti-Si-N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박막 내의 N의 함량이 확산방지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29~49 at.%, Ti, 6~20 at.% Si, 45~55 at.% N 범위의 조성을 갖는 Ti-Si-N박막이 우수한 확산 억제 능력을 보유하면서 또한 낮은 비저항 특성을 나타내는데 적합한 조성 범위로 나타났다.

Ti-Si-N films obtained by using RF reactive sputtering of targets with various Ti/Si ratios in a $N_2(Ar+N_2)$ gas mixture have been investigated in terms of films resistivity and diffusion barrier performance. The chemical bonding state of Si in the Ti-Si-N film which contained a higher Si content was in the form of amorphous $Si_3N_4$, producing increased film resistivity with increased $N_2$flow rate. Lowering the Si content in the deposited Ti-Si-N film favored the formation of crystalline TiN even at low $N_2$flow rates, and leads to low film resistivity. In addition increasing the N content led to Ti-Si-N films having a higher density and compressive stress, suggesting that the N content in the films appear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diffusion barrier characteristics. Consequently, we proposed the optimum composition in the range of 29~49 at.% of Ti, 6~20 at.% of Si, and 45~55 at.% of N for the Ti-Si-N films having both low resistivity and excellent diffusion barrier performance.

키워드

참고문헌

  1. Physics and technology of semiconductor devices A. S. Grove
  2. Diffusion of metals on silicon dioxide J. D. McBrayer
  3. VMIC Conference ISMIC T. Iijima;Y. Shimooka;G. Minamihaba;T. Kawanoue;H. Tamura
  4. J. Appl. Phys. v.81 X. Sun;J. S. Reid;E. Kolawa;M-A. Nicolet
  5. J. Vac. Sci. Technol. v.A8 no.3 E. Kolawa;J. M. Molarius;C. W. Nieh;M-A. Nicolet
  6. J. Electrochem. Soc. v.143 A. Hirat;T. Hosoya;K. Machida;H. Takaoka;H. Akiya
  7. 한국재료학회지 v.9 박상기;이재갑
  8. Silicon Processing for the VLSI Era v.1 S. Wolf;R. N. Tau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