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Helicobacter pylori 위염에서 균 박멸과 관련된 위염의 내시경 및 조직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

Evaluation of Endoscopic and Histological Change of Gastritis Related to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in Children

  • 장주영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학교실) ;
  • 김한성 (서울대학교병원 병리학교실) ;
  • 서정기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학교실)
  • Chang, Ju-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Han-Seong (Department of Path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eo, Jeong-Kee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투고 : 2001.02.23
  • 심사 : 2001.02.26
  • 발행 : 2001.04.30

초록

목 적: 소아 H. pylori 위염에서 균 박멸 후의 조직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치료전의 조직소견과 균 박멸과의 관련성 또한 잘 밝혀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H. pylori 위염 소아들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의 내시경 및 조직소견을 분석하여 균 박멸로 초래되는 위염의 내시경적, 조직학적 변화 및 균 박멸의 성공에 영향을 주는 치료 전 조직소견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95년 6월부터 99년 5월까지 만성 복통으로 내원하여 치료 전후 내시경 생검을 시행받은 소아들 중 조직 검사상 균이 관찰되면서 urease 검사가 양성인 만성위염 소아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박멸요법 후 4주 이후에 추적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위 두 가지 검사 및 배양 검사가 모두 음성인 경우를 균 박멸로 판정하였고, 조직 소견상 위전정부의 균밀도 및 염증 소견들을 최근의 시드니 위염분류법에 따라 0, 1, 2, 3으로 등급화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OAC로 치료받은 32명의 소아들을 박멸에 성공한 군과 실패한 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경우 시드니 위염분류법에 따른 치료 전 조직 소견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결 과: 1) 균이 박멸된 소아들(27례)의 경우 결절성 위염은 치료 전 89%에서 치료 후 63%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조직 소견상 호중구 침윤등급은 평균 2.06에서 0.24로 현저하게 감소하였고(p<0.01), 만성염증세포 침윤등급은 평균 2.61에서 1.89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완전히 호전된 예는 없었다. 림프여포는 48%에서 15%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점막 상피손상은 치료 후 모두 소실되었다. 균박멸에 실패한 소아들(15례)의 경우는 치료 전후 결절성 위염의 빈도, 조직 소견상 호중구 및 만성염증세포 침윤등급, 림프여포의 빈도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2) OAC 세 약제 치료 후 성공적으로 균이 박멸된 소아들(18례)과 균 박멸에 실패한 소아들(14례)의 치료전 내시경 소견과 조직소견을 비교하였을 때 결절성 위염의 빈도, 호중구 및 만성 염증세포침윤등급, 림프 여포 및 상피손상의 빈도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균밀도는 균박멸에 실패한 소아들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72). 결 론: 소아 H. pylori 위염에서 균박멸 치료 4주 이후 호중구 침윤은 현저한 감소를 보이며, 만성염증세포 침윤정도, 림프여포와 내시경상 결절성 위염도 의미 있는 호전을 보인다. 시드니 위염분류법에 따른 치료 전의 조직학적인 등급 중 균밀도는 높을수록 균박멸이 낮은 경향이 있어서 치료의 성공여부를 예측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radication of H. pylori on histological change of gastric mucosa in children with H. pylori gastriti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histological grading by the Sydney system is valuable in predicting the effect of treatment. Methods: 1) Histological scores by the Sydney system and the endoscopic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before and at least four weeks after anti-H. pylori therapy in 42 children with H. pylori gastritis. 2) In 32 children treated with omeprazole, amoxicillin and clarithromycin (OAC), pretreatment histological scores and endoscopic findings were compared between the eradicated and the noneradicated to evaluate their predictive value for the successful eradication. Results: 1) In the eradicated (27 cases), nodular gastriti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89% to 63% (p<0.05). There was an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mean activity score from 2.06 before treatment to 0.24 after treatment (p<0.01). The mean inflammatory score also improved from 2.61 before treatment to 1.89 after treatment (p<0.05). Lymphoid follicle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48% to 15% (p<0.05). Epithelial damage improved in all 4 cases. But in the noneradicated (15 case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frequency of nodular gastritis, the mean activity score, the mean inflammatory score and the frequency of the lymphoid follicles. 2) In 32 children treated with OAC,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higher was the pretreatment score of the bacterial density, the lower was the eradication rate of H. pylori (p=0.072). Conclusion: The loss of the polymorphonuclear cell infiltration is the most prominent histological change after successful eradication. There may be negative correlation of the grade of the bacterial density with the success rate of the anti-H. pylori therap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