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king Differential Diagnosis of Biliary Atresia Using Endoscopy

내시경을 이용한 영아 담즙울체 질환의 감별진단에 대한 연구

  • Beck, Nam-Seon (Department of Pediatrics, Samsung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Kang, I-Seok (Department of Pediatrics, Samsung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Tchah, Hann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Red Cross Hospital)
  • 백남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 교실) ;
  • 강이석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 교실) ;
  • 차한 (서울적십자병원 소아과)
  • Received : 2001.03.04
  • Accepted : 2001.03.24
  • Published : 2001.04.30

Abstract

Purpose: Many diagnostic modalities for neonatal cholestasis have shown features that are helpful, however until recently none of them are not pathognomonic of biliary atresia (BA). We carried out a prospective study of infants with cholestatic jaundice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an efficient method of diagnosing BA. Methods: Twenty-seven consecutive infants with cholestatic jaundic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d ranged from 7 to 152 days in age (mean; $51.2{\pm}34.2$ days). Gastroduodenoscopy was carried out using a fiberscope (Olympus N30). All the babies were fasted for at least 4 hours before the procedure and 20 ml of 10% dextrose solution was given at the time of endoscopy. The endoscopic examination focused on the 5 minutes observation of the evidence of biliary secretion. If there was lack of the evidence of the biliary secretion, endoscopy was removed and repeated the examination with some pause. Results: There are lack of the evidence of biliary secretion in all infants with BA. In non-BA group, 8 out of the 10 infants showed biliary secretion on the first trial, however one (Alagille syndrome) of the two infants without evidence of biliary secretion, finally exhibited biliary secretion on the second trial. The above observations resulted in the diagnostic accuracy of 96.3% with 100.0% sensitivity and 90.0% specificity. Conclusion: In light of the results from our relatively small study, endoscopy is a convenient, and relative inexpensive procedure. we strongly support the use of endoscopy for the diagnosis of BA in the screening and evaluation of infantile cholestasis.

목 적: 신생아 담즙울체를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많은 방법들이 있지만 아직까지 담관폐쇄증을 확실히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담즙울체에 의한 황달을 보이는 영아에서 담즙폐쇄를 효과적으로 진단하고자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담즙울체에 의한 황달을 보이는 영아 27명을 대상으로 위십이지장 내시경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아에서 검사 전 4시간 이상 금식시켰으며 검사 직전에 10% 포도당용액을 20 ml 먹게 하였다. 5분 동안 관찰하여 담즙분비의 증거가 없는 경우에는 내시경을 제거한 후 다시 포도당용액을 20ml 먹인 후 내시경을 삽입하여 5분간 관찰하였다. 결 과: 모든 담도폐쇄 환아에서는 담즙분비의 증거가 없었으나 비담도폐쇄가 있었던 10명의 환아 중 8명에서 첫 번째 시도시 담즙의 배설이 관찰되었고 또 두 번째 시도시 두 명 중 한 명(Alagille syndrome)에서도 답즙의 배설이 관찰되어 모두 10명 중 9명에서 담즙의 배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내시경을 이용한 담도폐쇄 진단의 정확도는 96.3%였으며 진단적 민감도는 100.0%, 특이도는 90.0%였다. 결 론: 비록 연구된 증례수가 많지 않아 일반화하는 데는 다소 어려움이 있겠지만 내시경을 이용하여 담도폐쇄를 감별하는 방법은 비교적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좋은 검사법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