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nostic Factors Affecting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in Destroyed Lung

파괴폐의 술후 합병증과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

  • 홍기표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흉부외과) ;
  • 정경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 교실) ;
  • 이진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 교실) ;
  • 강경훈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흉부외과) ;
  • 강면식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흉부외과)
  • Published : 2002.05.01

Abstract

Background: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in destroyed lung are relatively high. We tried to identify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in destroyed lung through a retrospective study. Material and method: The retrospective study was undertaken in 112 patients who had undergone pneumonectomy or pleuropneumonectomy for destroyed lung at Severance Hospital from 1970 to 2000.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and etiology, duration of disease, preoperative FEV1, presence or absence of peroperative empyema, operation timing, the side of operation, duration of operation, and operation type. Result: There were 55 men and 57 women, aged 20 to 81 years (mean 44 years). Etiologic diseases were tuberculosis in 86 patients(76.8%) including tuberculos empyema in 20 and tuberculous bronchiectasis in 4, pyogenic empyema in 12(10,7%), bronchiectasis in 12(10.7%), and lung abscess in 2(1.8%). Postoperative morbidity were 25%(n=28) and postoperative mortality was 6%(n=7). The presence of preoperative empyema(p=0.016), pleuropneumonectomy(p=0.037) and preoperative FEV1 of less than 1.75 L(P=0.048)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ostoperative morbidity, If operation time was less than 300min, postoperative morbidity(p=0.002) and mortality(p=0.03) were significantly low. Conclusion: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in destroyed lung were acceptable.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were significantly low when operation time was less than 300 min. Preoperative existence of empyema, pleuropneumonectomy and preoperative FEV1 of less than 1.75 L significantly increased postoperative morbidity.

배경: 만성 감염성 질환으로 파괴된 폐의 전폐절제술은 수술 후 높은 빈도의 합병증과 수술 사망률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파괴폐 환자의 수술 후 합병증 발생과 수술 사망률을 높이는 수술 전후의 위험인자를 밝혀냄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70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에서 파괴폐로 전폐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1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원인질환, 질환을 앓은 기간, 폐기능, 수술의 종류, 수술부위, 수술시간에 따른 합병증 발생률과 병원 사망률을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성비는 112명중 남자가 55명(49.1%), 여자가 57명(50.9%)이었고, 연령분포는 20세부터 81세까지 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4세였다. 원인질환으로는 결핵이 86례(76.8%)였고 이중 20례는 결핵성 농흉이, 4례는 결핵성 기관지 확장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이외에 화농성 농흉이 12례(10.8%), 기관지 확장증이 12례(10.7%), 폐농양이 2례(1.8%)이었다. 합병증은 28례(25%)에서 발생하였으며, 수술사망은 7례(6%)이었다. 수술전 농흉이 있는 경우(P=0.016), 흉막전폐절제술시(P=0.037) 그리고 수술 전 FEV1이 1.75L 미만인 경우(P=0.048)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이 의미 있게 높았으며, 수술시간이 300분 미만일 경우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P=0.002)과 수술 병원 사망률(P=0.03)이 의미있게 낮았다. 결론: 파괴폐의 수술 후 병원 사망률과 합병증 발생률은 크게 높지 않았으며 구술 후 합병증과 병원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로는 수술시간이었으며,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의 위험인자는 수술 전 폐기능 검사상 FEVl이 1.75 L미만인 경우와 수술 전 농흉의 존재와 흉막전폐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이었다. 시행하는 것이 심비대의 감소와 폐동맥판막 및 삼첨판막 폐쇄부전의 호전, 임상증상의 호전을 보였다는 점에서 적어도 단기 관찰 소견상 적절함을 보였다. 그러나 향후 장기 추적관찰 결과는 주의깊게 살펴보아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작되어 유전자 지도 작성 및 유용 유전자 개발 등 필수적인 연구를 시작하고 있으나 연구비와 인력 부족으로 국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과제는 연구 중에 있는 과제들을 보다 활성화하여 연구결과를 조속히 얻도록 노력해야 하며 새로 시작하는 과제는 연구기관의 능력과 연구 후의 실용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일괄 system 확립을 전제로 하는 협동연구체제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동안 식량작물의 종자개량 및 보급사업은 정부주도로 국공립 연구소를 중심으로 수행되어 왔으나 앞으로는 민영화 및 기업화를 촉진하는 정책을 추진하여야 외국의 종자회사 또는 농업 생산자와 경쟁할 수 있는 농기업 체제가 탄생될 것이다. 또한 국공립 연구 기관은 대학 및 개인회사연구소의 농업 연구를 지원하는 Infra system 확충을 목표로 연구 방향을 수정해야 할 것이며 유전 자원 연구, 작물 유전체 연구 등 직접적으로 수익성이 없는 기초적 연구에 치중하여 나라 전체의 연구 수준을 향상시키도록 노력해야 21세기에 농업에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근의 기능적 회복 및 심근 보호에 효과가 있음을 보았다(p<0.05).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쥐의 심장을 이용한 실험 시 허혈 전처치가 상온에서의 심근 허혈과 재관류 시에는 심근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으나 중등도 저체온법과 간헐적 심근 보호액의 주입 하에서 시행한 심장의 재관류에는 심근보호 효과가 없음을 보았다.$ L$^{-1}$의 농도에 노출된 세포는 초기에 매우 낮은 탄소동화율을 보였으며,

Keywords

References

  1. Ann Thorac Surg v.64 Factors affecting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in destroyed lung Halezeroglu S;Keles M;Uysal A(et al.) https://doi.org/10.1016/S0003-4975(97)00999-5
  2. Eur J Cardio thorac Surg v.12 no.2 Pneumonectomy for tuberculosis Ashour M https://doi.org/10.1016/S1010-7940(97)00155-3
  3. Ann Thorac Surg v.62 Pneumonectomy for chronic infection is a high-risk procedure Massard G;Dabbagh A;Wihlm JM(et al.) https://doi.org/10.1016/0003-4975(96)00596-6
  4. J Thorac Cardiovasc Surg v.89 Pneumonectomy through an empyema Odell JA;Henderson BJ
  5. Eur J Cardiothorac Surg v.2 Pneumonectomy for severe inflammatory lung disease: results in sixty-four consecutive cases Stevens MS;Devillers SJ;Stanton JJ;Steyn FJS https://doi.org/10.1016/S1010-7940(88)80003-4
  6. Ann Thorac Surg v.59 Pneumonectomy for chronic infection: fraught with danger? Reed CE https://doi.org/10.1016/0003-4975(94)00867-7
  7. Eur J Cardiothorac Surg v.18 Pneumonectomy for inflammatory lung disease Blyth DF https://doi.org/10.1016/S1010-7940(00)00526-1
  8. 대흉외지 v.33 결핵성 파괴폐의 수술적 치료에 대한 술후 이환률과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에 대한 임상고찰 신성호;정원상;지행옥;강성호;김영학;김혁
  9. J Thorac Cardiovasc Surg v.110 Elective pneumonectomy for benign lung disease: modern-day mortality and morbidity Conlan AA;Lukanich JM;Shutz J;Hurwitz SS https://doi.org/10.1016/S0022-5223(05)80181-3
  10. J Thorac Cardiovasc Surg v.86 Modern-day operative mortality for surgical resection in lung cancer Ginsberg RJ;Hill LD;Eagan RT(et al.)
  11. Ann Thorac Surg v.54 Elective pneumonectomy: factors associated with morbidity and operative mortality Patel RL;Townsend ER;Fountain WS https://doi.org/10.1016/0003-4975(92)91145-Y
  12. 대흉외지 v.28 전폐절세술에 있어서 수술위험인자의 평가 정경영;김길동
  13. Cluin Med J v.92 Pleuropulmonary resection in chronic empyema complicated by bronchopleural fistula Jiaan D;Tinghaui X
  14. Eur J Cardiothorac Surg v.18 no.5 Analysis of risk factors in bronchopleural fistula after pulmonary resection for primary lung cancer Sonobe M;Nakagawa M;Ichinose M;Ikegami N;Nagasawa M;Shindo T https://doi.org/10.1016/S1010-7940(00)00541-8
  15. Thoracic surgery Pulmonary tuberculosis Pomerantz M;Scannell JG;Ginsberg RJ;Pulmonary tuberculosis;Pearson FG(ed.);Deslauriers J(ed.);Ginsberg RJ(ed.);Hiebert CA(ed.);Mckneally MF(ed.);Urschel HC Jr(ed.)
  16. Ann Thorac Surg v.61 Prospective Analysis of pneumonectomy: risk factors for major morbidity and cardiac dysrhythmias Harpole DH Jr;Liptay MJ;Decamp MM Jr;Mentzer SJ;Swanson SJ;Sugarbaker DJ https://doi.org/10.1016/0003-4975(95)01174-9
  17. Thorax v.45 Unilateral posttuberculous lung destruction: The left bronchus syndrome Ashour M;Pandya L;Meraqii A(et al.) https://doi.org/10.1136/thx.45.3.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