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damental Concept on Gender Design and Its Strategic Approach

젠더 디자인의 기초개념과 전략적 접근에 관한 연구

  • 김희선 (홍익대학교) ;
  • 김원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디자인공학과)
  • Published : 2002.02.01

Abstract

'gender' means sex in a social sense and 'sex'is more close to the concept of that discussed in biological light. 'Gender is more adequate word in expressing gender equality of both sexes than 'sex'that gives us discriminating impression and implies tout we should actualize equality between both sexes in all field of social activities. Though more and more women have been advanced into the job that was once regarded as a men only-area and the concrete list of iou for men and women has been changed in the process of job structure transition, women stiff take full charge of all kind of houseworks so they're still under the double torture of housework and their job. Most of the job in which men used to engaged in the past is now mechanized. and we can't deny that modern technology triggered women's participation in public affairs by helping them to lead comfortable family life without any assistant or trustee for housework. Under these trend of our times, we made an attempt to look into design mainly from the standpoint of women by raising the issue of correlation between women's labor in society and houseworks in the hope that current design and changes into one that can rejects women's position and allows them independent choice in the field involved with our real life.

'gender'는 사회적 의미의 성(性)이고 'sex'는 생물학적인 성(性)을 의미한다. 'gender'는 남녀 차별적인 'sex'보다 대등한 남녀간의 관계를 내포하며, 평등에 있어서도 모든 사회적인 동등함을 실현시켜야 한다는 뜻이 함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점점 더 많은 수의 여성이 과거의 남성 직업으로 진출해왔고, 직업 구조 자체가 바뀌어 가는 과정에서 여성의 일과 남성의 일의 구체적 목록은 변해 왔지만, 여전히 여성주의적 디자인 접근은 피상적인 답보상태에 머무르고 있고 수많은 가전제품의 도입과 개선이 이루어졌음에도 여성의 가사노동 부담은 상대적으로 개선된 점이 없다. 이미 과거의 남성들이 해왔던 일들은 대부분 기계화가 되었다. 현대적 가정기술은 여성이 가사노동의 조력자나 위임자 없이도 가정의 안락한 생활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케 함으로써 여성의 사회활동에 기폭제가 된 것만은 틀림없다. 이에 따라 시대 변화 속에서 젠더 디자인의 개념 수립과 이에 따른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앞으로 우리의 삶과 상관되는 여성의 주체적 선택이 주어질 수 있는 디자인으로 바뀌기를 바라면서, 사회 속에서 여성의 노동과 그에 따른 가사활동의 문제를 제기하여 남성적 사고가 아닌 여성의 입장에서 디자인을 살펴보고자 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