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Program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지역진흥을 위한 디자인개발 프로그램

  • 하상오 (동아대학교 산업디자인전공)
  • Published : 2002.02.01

Abstract

Since policies of each local government toward regional development have been focusing on only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applied items such as a character merchandise, co-regional brand, and developing a speciality for the region, the adverse effects of design have been came out. So we carried out this research to minimize the adverse effect of design and also we would like to give the opportunity of thinking of a new way to activate local economy, to create regional identity and to develop local resources by applying the Cl program which have bean used as the way of business improvement coping with the conceptional change of competitiveness with a comprehensive view. Therefore, for desig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ional development, as standing on the basis of regional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attain the various goals such as activating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mproving the administrative image, and making the local in go unique. And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ommunicational strategy as an innovative and expressive program which can consider human network development as an regional resource. To carry out this communicational strategy effectively, in particular, it is not only inevitable to operate the strategic and comprehensive programs promoting the region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of 6 stages design develop cent program which consists of region's self-verification and self-recognition, self-determination, development of self-innovation, visibility to unify the regional images, creating the design system, and carrying out and verifying the program, but also it is necessary to apply regional development system which can change the regional basic plan, aiming at regional development, into unique regional trait that has an future image by improving the program with constant management and feedback through verifying the design program.

본 연구는 현재 각 지역에서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일률적으로 적용되어 온 지역활성화를 위한 방향이 캐릭터, 지역공동 브랜드, 특산품 개발 등 개별적인 응용아이템 개발위주로 진행됨에 따라 디자인의 역기능이 노출되고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하는 한편, 무한 경쟁으로써 의 지방 자치단체 개념 변화에 대응하여 기업혁신의 수법으로 이용되어져온 CI계획을 지역 경쟁력 강화 프로그램에 거시적으로 적용함으로서, 지역아이덴티티를 정립하고, 지역자원을 개발하며,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발상전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지역진홍을 도모함에 있어 디자인이 중심적 역할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지역성장 방향을 기반으로 하면서 행정조직의 활성화, 행정 이미지 향상, 지역이미지의 개성화라는 보다 복합적인 목표달성 뿐 만 아니라 지역자원으로서의 인재네트워크 개발까지도 시야에 넣는 보다 고도의 다양한 변혁, 표현 프로그램으로서 커뮤니케이션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지역의 자기검증 및 인식 작업, 자기 재정의(再定義) 작업, 자기 혁신운동 전개, 지역이미지 통합을 위한 시각화, 디자인 시스템 구축, 프로그램 실행과 확인등 6가지의 단계별디자인개발 프로세스에 의한 전략적이고 통합적인 지역진흥프로그램의 운용이 불가피 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 프로그램검증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와 피드백에 의한 프로그램의 개선으로 지역 진흥을 목표로 하는 지역의 기본구상이 미래비젼을 담은 지역의 독특한 개성으로 변환시켜 표출케 하는 지역개발기반 시스템으로서의 활용을 필요로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