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fluence of Visual Mental model in human to percept product form

제품형태 지각에 있어서 시각적 멘탈모델의 영향에 관한 연구

  • 오해춘 (두원공과대학 산업정보디자인과)
  • Published : 2002.02.01

Abstract

Human does information processing more efficiently using mental model at his understanding process. if We know what mental model is, we will know how to percept that. Similarly is it used visual mental model to percept visual object\ulcorner If it is true, we will analysis how man to understand. In this research, we have one experimentation to timid out that is true. So we did experimentation to know how man to understand new products by visual mental model. So we use 2700cc car's side view as stimuli. To A Subjects, we give them to see re\ulcorner size view before 120% ratio. To B Subject, we give them to see 120% ratio. After a experimentation, It is true that we make hypothesis that A Subjects percept this stimuli too long then B Subjects. Accordingly it proves human to use visual mental model to percept visual object. The result of experimentation, a testee use preliminary stimulus as basis of evaluation. It means that he use mental model as basis of evaluation of main stimulus. Accordingly development of new design can afford more strategic approach. Industrial designer who want to strategic approach can forced on high-weighted form attribute as consumer gives.

인간은 어떤 대상을 인지해 나가는 과정에서 심성모형을 이용해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처리 한다. 만약 어떤 대상을 이해해 가는 과정에서 그들이 사용하고 있는 심성모형이 어떤 것인지를 알 수 있다면 그것을 어떻게 인지할 것인지를 우리는 알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시각물을 인지하는데도 심성모형이 사용되고 있을까\ulcorner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우리는 새로운 디자인물을 사용자가 어떻게 이해할것인지를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같은 목적으로 인간이 시각적 심성모형을 통해 새로운 대상을 이해하는지를 알기 위해 2000cc급 자동차 측면을 자극재료로 하여 A집단에는 100%의 예비자극을 보여준 후 120%로 늘려진 실험자극을 보여줬고, B집단에는 120%의 실험자극만을 보여 주는 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 A집단이 B집단보다 실험자극을 보다 길게 지각할 것이라는 연구가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인간이 시각물을 지각하는데 에도 심성모형을 사용한다는 것이 증명되었으며, 이와같은 결론이 산업디자인분야에 시사하는 바는 어떤 대상을 디자인하는데 소비자가 생각하고 있는 기존제품의 시각적 심성모형을 알면 새로이 제시하려는 디자인대안에 대한 정화한 이해를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