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ypology of Proportion in Product Form

제품형태에 있어서 비례의 유형에 관한 연구

  • 이진렬 (조선대학교 디자인학부) ;
  • 홍정표 (전북대학교 산업디지인학과) ;
  • 김진아 (전북대학교 산업디지인학과)
  • Published : 2002.05.01

Abstract

There has been no enough consistency about the question of 'Is it possible for golden section to be applied to product design\ulcorner'In addition, There has been no near answer about 'What is proportion\ulcorner and 'How can proportion be approached\ulcorner About this matter, this study identified various types of proportion through experiment design and consumer surre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and different types of proportion exist in product design and therefore, proportion in product design couldn't be considered by one-dimensional aesthetic element. This kind of study about the types of proportion could give an good answer abort the matter of 'Is it possible for golden section to be applied to product design\ulcorner'and it's expected practically to give a useful insight to the approach of Product design in Which proportion is considered. In addition, preferred proportion structur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sumer characteristic, successful design strategy such as niche market penetration could be performed if designers classify consumer characteristic systematically.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황금비례의 적용이 가능한가' 라는 논제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들이 이에 대한 의견의 일치를 보이고 있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기존연구들에서는 과연 비례란 무엇이며 또한 어떻게 이해하고 접근해야 하는가라는 문제에 대해서도 명확한 해답을 내리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는 실험 설계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다양한 비례의 유형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제품유형마다 상이한 비례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비례는 단순히 일차원적인 심미적 요소로만 다루어져서는 안된다. 이러한 비례의 유형에 대한 고찰은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황금 비례의 적용이 가능한가'라는 주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 줄 수 있으며 실무적으로도 심미적 조형요소로서 비례를 다루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제품디자인접근법에 대한 유용한 통찰력을 제시해 줄 수 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비례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소비자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류한다면 틈새시장 공략 등 성공적인 디자인전략을 수행할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