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Year Experience of Surgical Treatment for Postpneumonectomy Empyema

전폐절제술 후 사강에 발생한 농흉의 치료

  • 김형렬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김영태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성숙환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김주현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2.07.01

Abstract

Background: Postpneumonectomy empyema(PPE) is an infrequent but potentially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To date, various surgical efforts have been made to manage this complication. We reviewed our 20-year surgical experience of PPE and long-term follow-up data. Material and Method: Total of 37 patients who were treated for PPE between fan, 1980 and Jun, 2000 were included. Various clinical factors such as micro-organism, operative method and timing, presence of bronchopleural fistula(BPF), underlying disease and fate of empyema cavit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nd analyzed. Result: Majority of patients(34) underwent Eloesser operation for effective drainage. There was only one operative mortality. The causative organisms were Staphylococcus species and Pseudomonas species in 46% BPF was found in 20 cases, among which spontaneous closures took place in 4 cases. The chest wall was closed in 40%(8/20) of patients with BPF, compared to 59%(10/17) without BPF. The closure rate was statistically better in patients without BPF(p=0.006). Even though the patients with benign disease showed higher closure rate(50%) than those with lung cancer (31%),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p=0.25). Conclusion: Eloesser procedure was an effective method for initial drainage of PPE cavity with low operative mortality. Given the findings of low spontaneous closure rate of BPF, aggressive approach to close the BPF is mandatory to achieve the final goal of chest wall closure. It was found that majority of patients still left their chest cavity opened, even after controlling the active inflammation of the empyema cavity. More aggnessive approach for chest wall closure is recommended in all patents with benign disease and in selective patients with lung cancer if there is no evidence of recurrence at several years after the initial operation.

배경: 전폐절제술후 사강에 발생한 농흉의 치료로써, 사강의 멸균과 기관지늑막루의 폐쇄,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수술적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전폐절제술후 발생한 농흉의 치료를 위하여 최근 20여년간 치험한 수술적 방법의 성적과 역할을 고찰해 보았다. 대상과 방법: 1980년부터 2001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전폐절제술후 발생한 농흉의 치료를 위하여 수술을 시행한 37례를 대상으로 농흉원인균, 수술방법 및 시기, 기관지늑막루의 유무, 선행질환의 종류, 농흉강 폐쇄여부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환자(34례)에서 Eloesser술식을 시행하였고 Eloesser술식과 관련한 사망의 경우는 1례 있었다. 농흉의 원인균은 포도상구균과 녹농균이 흔하였다. 기관지늑막루는 20례에서 관찰되었다. 기관지늑막루가 있었던 환자 20명 중에서 19명에서 Eloesser술식을 시행하였으며, 이중 4례에서 기관지늑막루가 자연폐쇄 되었다. 기관지늑막류 유무에 따른 흉강폐쇄율은 각각 40%(8/20), 59(10/17)로 기관지늑막루가 없는 경우 더 많은 환자에서 농흉강을 폐쇄할 수 있었다(p=0.006). 선행질환이 폐암인 경우에는 31%(6/19), 양성질환인 경우는 50%(9/18)에서 농흉강을 폐쇄할 수 있어서 양성질환에서 조금 더 많은 경우 농흉강을 폐쇄할 수 있었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25). 결론: Eloesser술식과 관련된 사망률 및 합병증은 낮아 적절한 배농을 위하여 효과적으로 안전한 수술법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기관지늑막루의 자연폐쇄율이 매우 낮아, 기관지늑막루를 폐쇄하고 농흉가을 멸균, 충진할 수 있는 수술적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양성질환자 혹은 일정기간 동안 재발의 증거가 없는 폐암환자에게는 농흉강을 폐쇄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수술의 고려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47), 제2기에서는 81%(87/107)로 증가하였으며 환자 1명당 문합수도 제1기 $2.5{\pm}0.6$개소에서 제2기 $3.0{\pm}1.1$개소로 의미 있게 증가 하였다(p<0.05). 대동맥내풍선 펌프는 제1기에 7명, 제2기에 17명에서 사용되었는데 술 전 사용율은 제1기에 28.6%(2/7) 제2기에 52.9%(9/17)로 증가하였고 좌심실 기능 부전(LVEF<40%), 또는 울혈성 심부전 소견이 있는 환자에서 광범위 하게 적용하였다. 수술 사망율은 제1기에 5명이 사망하여 10.6%(5/47)을 나타내었고 제2기에 1명이 사망하여 0.9%(1/107)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 체외순환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술은 근래에 더욱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으며 수술의 보편화와 수술 경험의 축적에 따른 체외순환 과대동맥 차단 시간의 단축, 심근 보호의 발달 그리고 좌심실 기능 부전이나 심부전이 있는 환자의 적절한 관리, 특히 대동맥내 풍선펌프의 광범위한 적용이 수술 사망률을 줄이는데 기여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산화성 스트레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될 것으로 생각된다.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필요가 있다.결술이 가장 안전하고도 완전교정술 도달 확률이 높은 치료전략이라는 사실을 입증하였으며 주대동맥폐동맥혈관부행지의 크기나 숫자가 단일화하기 쉬운 형태학적 특징을 지닌 경우에는 조기에 일단계완전교정술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반면 본 환아군 중 단일화술을 먼저 시도한 군에서는 비록 단계적인 단일화를 시도한 군에서 단일화술과 관계된 수술사망율이 약간 낮기는 하였으나 완전교정술까지 완료될 가능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 경우 보다 정련된 적응 환자의 선택을 통한 단일화 우선전략의 시도와 장기 추적결과의 관찰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Surg Gynecol Obstet v.60 An operation for tuberculous empyema. Eloesser L
  2. J. Thorac Cardiovasc Surg v.92 The Eloesser flap: Past and present. Hurvitz RJ;Tucker BL
  3. J. Thorac Cardiovasc Surg v.86 Open window thoracostomy in the management of postpneumonectomy empyema with or without bronchopleural fistula. Shamji FM;Ginsberg RJ;Cooper JD(et al.)
  4. J. Thorac Cardiocasc Surg v.99 Postpneumonectomy empyema: The role of intrathoracic muscle transposition. Pairolero PC;Arnold PG;Trastek VF(et al.)
  5. J. Thorac Cardiovasc Surg v.45 A procedure for the management of postpneumonectomy empyrma. Clagett OT;Geaci JE
  6. 대한흉부외과학회지 v.8 Clagett 방식에 따른 폐절제술후 농흉의 치료. 김주현;노준량;김종환;서경필;이영균
  7. J. Thorac Cardiovasc Surg v.86 Intrathoracic transposition of extrathoracic skeletal muscle. Pairolero PC;Arnold PG;Pisher JM
  8. 대흉외지 v.24 기관지흉막루를 동반한 전폐저제술후 농흉의 수술적치료 : 유경 대망판과 흉벽 근육을 사용한 치험2례 김기봉;조상록;성숙환;김주현
  9. Ann Thorac Surg v.72 Accelerated treatment for ealy and late postpneumonectomy empyema. Schneiter D;Cassina P;Korom S(et al.) https://doi.org/10.1016/S0003-4975(01)03083-1
  10. J. Thorac Carsiovasc Surg v.50 no.6 Transparasternal transpericardial operation in the treatment if chronic empyema with bronchopleural fistula. Morimoto K;Taniguchi I;Nakamura Y(et al.) https://doi.org/10.1007/BF03032153
  11. 대흉외지 v.32 전폐절제술후 생긴 농흉의 치료 송종필;정승혁;허용;김병열;이정호;안욱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