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ized Pneumoconiosis Manifested by Solitary Pulmonary Nodule Mimicking Lung Cancer -One case report-

폐암으로 의심되는 고립성 폐결절로 발현된 국한성의 진폐증 - 1례 보고 -

  • 이기복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흉부외과학 교실) ;
  • 박희철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흉부외과학 교실) ;
  • 홍기우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흉부외과학 교실) ;
  • 이원진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흉부외과학 교실) ;
  • 김건일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흉부외과학 교실) ;
  • 최광민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흉부외과학 교실) ;
  • 김태윤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흉부외과학 교실) ;
  • 안혜경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병리학 교실)
  • Published : 2002.08.01

Abstract

Pneumoconiosis is fibrogenic disease, caused by inhalation of mineral dust. It is defined as the accumulation of dust in the lung and tissue reaction to its presence and the dust is considered to be an aerosal of solid and inanimate particles. It is among the most common and the most important occupational lung disease,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It is required three prerequisites for making a clinical diagnosis of pneumoconiosis: 1) a full clinical and occupational history together with the result of physical examination; 2) previous X-ray for comparison; and 3)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time scale involved in the progression of the diseases. Most pneumoconiosises are slow to evolve and changes in the appearances take many months -usually years- to occur. Pneumoconiosis is represented on a plain X-ray of the chest as multiple small round opacities, usually smaller than 1cm diameter. In 58 years old female patient, pneumoconiosis is manifested as $5{\times}4{\times}3$cm sized solitary pulmonary nodule without any occupational history and past history of exposure of dust. so we treated this case with right upper lobectomy. Therefore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진폐증은 광물성 분진의 흡입에 의하여 야기되는 폐의 섬유성 변화에 의한 질환이다. 진폐증은 폐에 분진의 축적과 그에 의한 조직의 반응에 의하여 야기되는 것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분진은 대기중의 고형이며 비유기성의 입자라고 생각되어 지고 있다. 상기 질환은 특히 개발도상국의 직업병중 가장 흔하고 중요한 질환이다. 상기 질환의 임상적인 진단하려면 세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1) 이학적 검사가 바탕이 되며 임상적으로 증명되는 직업적인 과거력 ; 2) 예전 단순흉부방사선과의 비교 ; 그리고 3) 상기 질환의 진행에 소요되는 시간적 추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 대부분의 진폐증은 매우 느리게 진행하고 임상양상이 나타나기까지는 적어도 수 개월에서 수 년이 걸리기도 한다. 대개의 진폐증은 단순흉부방사선에서 1cm 미만의 다발성의 작고 둥근 결절로 나타나게 된다. 58세의 여자 환자에서 진폐증이 특징적인 직업력이나 분진에 노출된 과거력이 없는 상태에서 우상엽에 $5{\times}4{\times}3$cm크기의 고립성 폐결절로 나타난 진폐증을 우상엽 절제술로 치료하였기에, 본 교실에서는 상기 임상례를 간략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

References

  1.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eries No. 22 Guidelines for the use of ILO classification of radiographs of pneumoconiosis(Revised ed.) ILO Publications
  2. Int J Tuberc Lung Dis v.5 Chest radiography in the diagnosis of pneumoconiosis Pham QT
  3. Practitioner v.246 Silicosis and coal workers' pneumoconiosis Scarisbrick D.
  4. Environ Health Perspect v.108 no.SUP. 4 Silicosis and coal workers' pneumoconiosis Castranova V;Vallyathan V
  5. Radiology v.171 Radiographic type p pneumoconiosis:High-resolution CT Akira M;Higashihara T;Yokoyama K(et al.)
  6. Envion Health Perspect v.78 Prevalence and pathogenesis of pneumoconiosis in coal workers Hepplesion 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