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sign of Office Filing System Furniture

사무용 수납가구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신화경 (상명대학교 생활환경학부 소비자주거학전공) ;
  • 하숙녕 (상명대학교 생활환경학부 소비자주거학전공)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Against the projection that the volume of filing would be drastically cut in the Information Age, the needs for filing in this age increases gradually. In this respect, it is critical to study the design of office filing system furniture. Through this study, we could find out what shall be the major requirements for office lijillg system furniture. This study would also provide important raw data for developing more efficient and more satisfactory office filing system furniture. Subject for this study includes 6 representative filing system furniture including a lateral file cabinet. For the design analysis, we used catalogues of foreign and domestic office furniture, particularly filing system furniture. The analysis i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six categories such as size, shape, color, material, handle, and filing method, mobility, flexibility, and so 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office furniture in the market, requirements of furniture fit for office environment are found to be as follows. -Instead of the fixed-type furniture, movable furniture is more adaptable to the ever-evolving office environment. -Design the office furniture in accordance with a standardized module would provide a more unity and diversity of arrangement in space particularly when it is arranged with other furniture. -Development of more diverse color, which ranges from achromatic color to wooden color to other various colors, is more favored in the ever-changing office environment. -As the grip provides a variety of image to the furniture let alone its function, its development is required to be more diverse and more conforming 10 the design of Ihe furniture. -The filing methods in general are with drawer and shelf, among which the drawers design is usually fixed. However, under the evolving office furniture environment, the design of Ihe drawer, bolh inlerior and exterior, shall be more diverse and flexible.

정보화에 따라 수납량이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과는 달리 수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최근의 사무환경 변화에 발 맞추어 국내 외 사무용 수납가구의 디자인 특성 및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무환경 디자인에 맞는 가구의 조건을 정리하고, 현재 우리 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국내 외 사무용 수납가구의 디자인 특성영역을 분석하여 사무환경에 대응할 수납시스템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사무용 수납가구 중 현재 일반화되어있는 lateral file 등 6가지 수납가구를 대상으로 국내 외 사무용 가구의 카다로그를 분석하였으며 사무용 수납가구의 디자인 특성으로는 수납가구의 크기, 형태, 색, 재료, 손잡이, 수납방법, 이동성, 융통성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현재 시판되는 수납가구의 디자인 특성분석결과에 따른 미래의 수납가구의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 -변화하는 사무환경에 맞춰 고정형보다는 이동이 가능한 가구와 함께 위치변동이 자유로운 수납가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수납가구의 크기는 서로 다른 제품과 혼합사용시 공간의 통일성 및 공간 사용의 융통성을 주는데 유리하므로 일정한 모듈의 규격화된 디자인이 필요하다. -무채색계열과 정해진 나무색상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형태에서, 앞으로는 변화하는 사무환경과 수납가구의 디자인에 맞춰 다양한 색상의 개발이 요구된다. -수납가구의 손잡이는 기능적인 면 외에도 다양한 이미지 변화의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손잡이의 디자인 변화가 필요하다. -수납구분방법은 대부분이 선반과 서랍식으로 구분되었고 서랍식인 경우 기능이 정해진 내부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나, 서랍의 내부와 외부에서의 다양한 수납방법과 디자인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