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Korean Inclination to visual equivocality

시각적 등가성에 대한 한국인의 성향 연구

  • 오근재 (홍익대학교 조형대학 조형학부)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Korean inclination to visual equivocality. Similar studies conducted by several psychologists were review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we can put equal value on the visual equivocality which is often shown in natural appearance. This Korean inclination was also investigated with the help of a public surve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rom the study. - In reality, there is no visual equivocality for Koreans except in some specific cases. - It is true that, on a screen, a diagonal line from the lower right to the upper left produces a stronger feeling of upward tendency than one from the lower left to the upper right. - The idea that the right side of a screen looks heavier than the left one was not supported and should be rejected for Koreans. - It was discovered that the user interface is working when a person is describing a natural appearance or looking at a description. This fact is generally accepted for Koreans, the majority of whom are right-handed. - Until now, the idea of a Korean superiority toward the left side in visual expression has been found in our culture. In short, it was uncovered that Korean people generally do not have visual equivocality but, instead, have an inclination to left side rather than the right from various aspects.

본 연구는 시각적 등가성에 대한 한국인의 성향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연현상에서 흔히 조우할 수 있는 시각적 동등성에 우리가 동일한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 일부 심리학자들의 유사연구를 참고로 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서 한국인의 성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은 발견점을 가져다 주었다. - 일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시각적 등가성은 한국인에 있어서는 현실적으로 존재하기 어렵다. - 화면에서의 대각선은 오른쪽 아래에서 왼쪽 위방향보다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방향으로 보다 상승감을 느끼게 해준다는 지적은 사실로 드러났다. - 화면의 오른쪽이 왼쪽보다 무거워보인다는 지적은 우리 나라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확인되지 않았거나 무시할만한 정도 이내이다. - 자연현상의 묘사나 이에 대한 관찰자의 시각물 수용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작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경우 오른손 듣기가 대부분인 한국인에 있어서는 이러한 현상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다. - 한국인의 좌측 우위사상에서 오는 전래적인 시각적 표현은 지금도 우리 문화 속에 녹아 있다. 이상의 내용을 한 마디로 정리한다면, 한국인에 있어서 시각적 등가성은 대체적으로 실존하지 않는다는 점이며, 여러 가지 측면에서 오른쪽보다는 왼쪽에 경도되는 일반적인 성향을 한국인이 가지고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