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환경의 이미지 정체성 수립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도시이미지정체성 수립을 위한 디자인요소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Street Environment image Identification - Centering on developmental examples and design factors for establishment of city image identity of Gwang-ju -

  • 윤봉식 (순천제일대학 디지털애니메이션과)
  • 발행 : 2002.08.01

초록

21세기에 들어 지방화에 대한 인식이 세계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재해석되고, 고유한 지방문화의 가치가 진정한 의미에서 도시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인식됨에 따라 국내 ·외적인 환경변화에 능동적인 대응과 일관성 있는 도시의 발전상 모색을 위하여 도시마다 도시의 이미지정체성 개발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지난해 광주시의 도시이미지정체성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통해 '빛과 생명의 도시, 광주'라는 이념적 슬로건과 CI기본 요소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기초 연구를 토대로, 도시이미지를 구성하는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도시 현황을 분석하고, 도시의 발전 가능성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도시환경디자인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광주시에 적합한 가시적 정체성이미지 수립을 위한 사례 개발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광주시의 실제적 도시환경디자인 요소개발 사례를 제시하였고, 연구결과는 현재 광주시에 적용되었거나, 일부 보완을 통하여 적용되어질 예정이며, 이를 기반으로 도시 이미지정체성 수립을 위한 장기적인 전략에 따라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다.

In the 21st century, as localization is reinterpreted as an important part of globalism and as local culture is recognized as a device to increase the competitive power, every city is trying to develop its identity and improve its image while coping with change of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environment. Therefore, basic research was preformed to establish the city image identity of Gwangju and as a result, an ideological slogan " City of Light and Life, Gwangju" and basic factors were develop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dition of the city, focusing on design factors that the city image is comprised of, and establishes a long-term strategy for urban environment development by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potential of the city. and focuses on case studies for establishment of an image suitable for Gwangju. Case studies focusing on the urban environmental development were presented and the results were applied to Gwangju. From the results, further studies can be pursued according to a long-term strategy. strateg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