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of Design Rhetoric

디자인 수사학의 논의와 전망

  • Published : 2002.08.01

Abstract

Rhetoric, simply defined, is the art of persuasion. Gui Bonsiepe, Robin Kinross, Hanno, Ehses and Richard Buchanan have all spoken of rhetoric as an element of the theory of design. St. Joost Academy in the Netherlands has tried to present the theory and practice of a new kind of designing based on rhetoric since 1995. Post-St Joost was the name of the experimental graduate programme. They adopted visual rhetoric as a matrix for setting up a new type of exercise and assignment in design education. In this paper, 1 have tried to show that rhetorical approach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a view of design as a discipline in its own right. The first chapter looks at the brief history of rhetoric in western culture. And the following chapter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design rhetoric and visual rhetoric in the twentieth century. 1 hope this essay will contribute to find the designerly way of knowing, thinking and doing.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다시 활발해진 인문학에서의 수사학 논의와 디자인 수사학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디자인학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최근 디자인계에서는 디자인 연구의 성격과 디자인학의 가능성을 둘러싸고 여러 차원에서 논의가 진행 중인데 디자인 수사학에 대한 이해는 여기에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고 생각된다. 제1장에서는 고대 그리스부터 중세까지 수사학이 꽃피웠던 시기와 수사학이 종합적인 인문교육에서 중요성을 띄고 일반적인 교과과정으로 채택되었던 근대 시기, 그리고 수사학이 다시 부흥하고 있는 20세기 후반의 수사학 이론을 역사적인 맥락에서 검토해 보았다. 제2장에서는 기 본시페의 시각 수사학과 리차드 부캐넌의 디자인 수사학 논의를 살펴보고 수사학적 접근 방식을 실제 디자인 교육에 접목시킨 생 주스트 아카데미의 적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자는 디자인 수사학 연구가 디자인학의 정립에 있어서 유용한 연구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