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Type of Absent Body in Clothing - Based on Deconstructionism -

의상에 있어서 신체부재의 유형 연구 - 해체적 사고에 근거하여 -

  • 박현신 (덕성여자대학교 예술대학 의상학과)
  • Published : 2002.08.01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doffing and body has been fixed, deconstructism evoked doubt about not only presence or absence of body but also identity for wear. In the result, meta-body which is beyond the existent body was proposed through deconstruction of body which is main concept for doffing. The decostructive body have an effect on the way of expressions and forms for doffing as well as the rational doffing, and propose various types of body absence in clothing. The results are: 1. the absence of gender identity 2. the absence of wholeness in harmony 3. the absence of doffing form 4. the absence of meaning as clothing

전통적으로 의상과 신체의 관계는 고정적인 것이었으나, 해체적 사고는 의상에서 신체의 존재와 부재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정체성에 대한 회의를 불러 일으켰다 그 결과 의상의 중심 개념인 신체의 해체를 통해 가시적인 신체뿐만 아니라 실존하는 신체를 넘어선 더 큰 의미의 신체인 메타 바디를 제시하였다 이는 의상의 합리성은 물론 표현 방법이나 형태에 영향을 미쳐 다양한 방법의 신체 부재현상으로 나타났다. 그 유형은 1. 성 정체성의 부재 2. 조화된 전체성의 부재 3. 형태의 부재 4. 의상으로서의 의미 부재로 표현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