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fill Hazard Assessment Model Based 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위배분석과정(位陪分析過程)에 근거한 매립지 유해성 평가 모형

  • Hong, Sang-Py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ongju University)
  • 홍상표 (청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2.03.3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침출수를 비롯한 매립지의 각종 오염물질 배출로 수자원이 오염되어 피폭체의 피해가 빈발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매립지의 상대적 유해성을 평가하여 한정된 환경관리 예산의 합리적 배분을 위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도구로서 LHR(Landfill Site Hazard Ranking)모형을 개발했다. LHR모형은 다요소의사결정(多要素意思決) 기법에 정성적 위해성(危害性) 평가기법을 접맥시켜 주관적 가중치를 모형에 반영한 가치내재화(價値內在化) 모형이다. LHR모형은 피폭체의 주요 피폭경로를 지하수 이동경로와 지표수 이동경로로 보았으며, 각 이동경로별로 누출 가능성, 폐기물 특성 및 피폭체 특성으로 요소범주를 3종류로 구분하여 폐기물의 독성이나 매립량같은 특성이 매립지의 수리지질학적 요소 및 자연지리적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오염물질의 누출 가능성을 통해 매립지 주변의 지역주민과 취약한 수생태계 같은 피폭체에 끼치는 매립지의 유해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했다. 그리고 LHR모형에서는 매립지 유해성을 공기 이동경로 및 사회경제적 측면에서도 평가하기 위해 매립지 이격거리별 토지이용 형태의 유해성을 평가했다. 그리고 각 평가요소별 가중치는 위계분석과정(位階分析過程)의 쌍대비교법(雙對比較法)에 의하여 할당했으며, 민감도 분석으로 LHR모형을 검증했다.

Keywords

References

  1. Martin N. Sara, 1994, Standard Handbook for Solid and Hazardous Waste Facility Assessments, Lewis Publishers, 10-63
  2. U.S.EPA, 1988, Treatment Potential for 56 EPA Listed Hazardous Chemicals in Soils, 1-2
  3. Chester D. Rail, 1989, Groundwater Contamination Sources, Control, and Preventive Measures, Technomic Publishing Co., 32-33
  4. Christopher M. palmer, 1992, Principles of Contaminant Hydrogeology, Lewis Publishers, 161-162
  5. Aller, L., Bennet, T., and Petty, R.J., 1987, A Standardized System for Evaluating Groundwater Pollution Potential Using Hydrogeologic Settings, EPA-600/2-87-035
  6. Ralph L. Keeney and Howard Raiffa, 1976, Decisions with Multiple Objectives : Preferences and Value Tradeoffs, John Wiley & Sons, 32-41
  7. Satty, T.L., 1988,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University of Pittsbur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