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ricuspid regurgita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secondary lesion when it is combined with left valvular heart diseases. However, there have been some reports which show that tricuspid regurgitation keeps going and results in congestive heart failure even after a successful operation for left valvular heart disease. So far, there are no definite operation indications and predictive factors for the tricuspid re-gurgitation which is resulted from the left sided valvular heart disease. We design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effects of pulmonary artery pressure an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on the prognosis of tricuspid regurgitation, and to make an operation indication for the patients with secondary tricuspid regurgitation. Material and Method: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the left sided valvular heart disease with tricuspid regurgitation and were followed for more than 1 year with echocardiograms. There was a total of 114 cases. We compared the grades of tricuspid regurgitations and pulmonary artery pressures an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s on the basis of echocardiograms which were checked preoperatively and on the last follow up. Result: There were 43 cases of tricuspid an-nuloplasty. In these patients, the grades of tricuspid regurgitations were improved in 42 cases (97.7%). But in 71 cases without annuloplasty, 29 cases (41%) were improved, 32 cases (45%) had no change, and 29 cases (14%) were aggravated. This finding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gnoses of tricuspid regur-git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pulmonary artery pressures and ejection fractions between the patients who showed progression of tricuspid regurgitations and those who didn't (p > 0.05). The improvements of tricuspid regurgitations are not statistically related to the changes of pulmonary artery pressures or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s.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it is impossible to predict the prognoses of tricuspid regurgitations with preoperative pulmonary artery pressures or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s. Also, the excellent results of tricuspid annuloplasty is proven in controlling the secondary tricuspid regurgitations. Therefore, when tricuspid regurgitation is detected preoperatively, the procedures to correct the tricuspid regurgitation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for the left-sided valvular heart disease must be considered positively, regardless of the grades of tricuspid regurgitations, to prevent sig-nificant tricuspid regurgitation that may develop later.
좌심실 판막질환에 동반한 삼첨판패쇄부전증은 주 병소에 따른 2차적 병소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좌심실 주 병소의 성공적인 수술 이후에도 삼첨판패쇄부전증이 호전되지 않고, 심기능 부전의 원인이 된다는 보고가 있다. 현재까지 좌심실 판막질환에 2차적으로 발생한 삼첨판패쇄부전증의 경과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는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수술 적응증 또한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지 않다. 저자들은 폐동맥압과 좌심실구출률, 삼첨판륜성형술이 삼첨판패쇄부전증의 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좌심실 판막질환의 수술 시 동반한 삼첨판패쇄부전증의 정확한 수술 적응증을 확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삼첨판패쇄부전증을 동반한 좌심실 판막질환으로 수술을 받았던 환자들 중 1년 이상 심초음파 검사로 추적 검사를 시행하였던 114명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모든 증례는 심초음파 소견으로 삼첨판패쇄부전증 정도, 폐동맥압, 좌심실구출률을 구하였으며, 각 결과를 수술 전과 최종 추적관찰 값을 비교하였다. 결과: 총 114예의 환자중 삼첨판륜성형술을 시행하였던 43예에서는 삼첨판패쇄부전증의 정도가 호전된 경우가 42예(97.7%)였으나, 삼첨판패쇄부전증에 대한 시술을 시행하지 않았던 71명의 환자에서는 호전이 29예(41%), 변화없음이 32예(45%), 악화가 10예(14%)로 두 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를 보여주고 있었다(p<0.05). 삼첨판패쇄부전증에 대한 수술을 하지 않았던 군에서 삼첨판패쇄부전증이 악화된 환자들과 악화되지 않았던 환자들간의 폐동맥압과 좌심실구출률의 차이는 없었다. 폐동맥압과 좌심실구출률의 수술 전후변화량은 삼첨판패쇄부전증의 호전도와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 폐동맥고혈압과 좌심실구출률로 좌심실 판막질환과 동반된 삼첨판패쇄부전증의 경과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생각하며, 삼첨판륜성형술을 시행한 경우 삼첨판패쇄부전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좌심실 판막질환으로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 삼첨판패쇄부전증이 발견되면 그정도와 상관없이 적극적으로 삼첨판륜성형술을 시행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중증의 삼첨판패쇄부전증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