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tomical Variations in the Communicating Rami of the Upper Thoracic Sympathetic Ganglia Related to the Essential Palmar Hyperhidrosis

본태성 수부 다한증에 관련된 상부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의 해부학적 변이

  • Cho, Hyun-Min (De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Kil-Dong (De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ak (De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Kyung-Young (De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조현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교실) ;
  • 김길동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교실) ;
  • 이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교실) ;
  • 정경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교실)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Background: Although ramicotomy (division of the rami communicantes of the thoracic sympathetic ganglia) is a selective and physiological surgical method for essential hyperhidrosis, it has some problems such as higher recurrence rates and the different surgical results among the patients and between left and right sides in the same individual. As one of the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differences in surgical result and recurrences, we investigated the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rami communican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develop new surgical methods to decrease surgical differences among the patients or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ame individual and recurrence rates in the clinical application of ramicotomy. Material and Method: We dissected 118 thoracic sympathetic chains in 59 adult Korean cadavers (male: 33, female: 26) to examine the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rami communicantes from the second to the fourth thoracic sympathetic ganglia that have major components innervating to the hands. After the dissection of bilateral thoracic sympathetic chains, we compared the anatomy of left and right sides and examined the anatomical variations of rami communicantes. Result: The number and variation of communicating rami connecting the spinal nerves and the second sympathetic thoracic ganglion were much larger than lower levels. There was considerably less variability in the anatomy of the rami communicantes at successive levels. Among the 59 cadavers dissected, only 14.3% (9/59) had similar anatomy of thoracic sympathetic chains at both sides. As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essential palmar hyperhidrosis, intrathoracic nerve of Kuntz from the second 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to the first intercostal nerve or brachial plexus were observed in 55.9% (66/118). The incidence of descending rami communicates from the second 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to the third intercostal nerve and from the third 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to the fourth intercostal nerve were 49.2% (58/118) and 28.0% (33/118). And the incidence of ascending rami communicates from the third 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to the second intercostal nerve and from the fourth thoracic sympathetic ganglion to the third intercostal nerve were 6.8% (8/118) and 3.4% (4/118), respectively. Conclusion: Based on the various anatomical evidences of the rami communicantes from this study, only the ramicotomy at the third sympathetic ganglion level is insufficient for the treatment of the essential palmar hyperhidrosis to decrease the difference of surgical results and recurrences. When one is planning to perform the ramicotomy for the essential palmar hyperhidrosis, it is advantageous to divide the intrathoracic nerve of Kuntz on the second rib and the descending or ascending rami communicantes on the third and the fourth ribs as well as all the communicating rami from the third sympathetic ganglion.

배경: 본태성 수부다한증에 대한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절제술은 해당 교감신경 분포부위만 차단하는 수술이므로 기존의 교감신경수술에 비해 선택적(selective)이고 생리적(physiologic)인 수술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수술결과에 있어서 환자에 따라 혹은 동일한 환자에서도 양쪽 사이에 발한 감소의 차이가 있고 재발률이 높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수술결과의 차이와 술 후 재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 상부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의 해부학적 변이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본태성 수부다한증에 대한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절제술의 임상적 적용에 있어서 개인간 혹은 동일인의 양쪽간 수술결과의 차이를 줄임과 동시에 수술 후 재발률을 떨어뜨릴 수 있는 새로운 수술방법을 개발하는 데 있다. 대상 및 방법: 연세대학교 해부학교실에서 흉부교감신경계의 손상이나 훼손이 없는 구의 한국인 사체 59구(남자 26구, 여자 16구)를 대상으로 총 118쪽의 흉부교감신경계를 해부하여 손에 분포하는 주된 교감신경인 제2, 3, 4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의 주행을 조사하였다. 59구의 사체 모두 양쪽에서 흉부교감신경줄기의 해부학적 형태를 비교하였고 본태성수부다한증과 관련된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의 해부학적 변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교통가지의 해부학적 변이는 제2흉부교감신경절에서 가장 심했으며 아래로 내려갈수록 변이가 점점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59구의 사체에서 양쪽 흉부교감신경줄기를 비교한 결과 양쪽의 해부학적 형태가 유사한 경우는 전체의 15.3% (9/59)에 불과하였고 나머지 84.7% (50/59)에서 양쪽의 해부학적 구조가 다르게 나타났다. 총 118쪽의 흉부교감신경줄기를 해부한 결과 본태성 수부다한증과 관련이 있는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의 해부학적 변이로 쿤츠씨 신경이 55.9% (66/118)에서 관찰되었고 제2흉부교감신경절에서 제3늑간신경으로 연결되는 교통가지 및 제3흉부교감신경절로부터 제4늑간신경에 연결되는 하행교통가지가 각각 49.2% (58/118)와 28.0% (33/118)로 나타났으며 제3흉부효감신경절에서 제2늑간신경으로, 제4흉부교감신경절에서 제3늑간신경으로 각각 연결되는 상행교통가지도 6.8% (8/118), 3.4% (4/118)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상부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의 다양한 해부학적 변이로 인해 동일한 방법으로 수술하더라도 개인에 따라 심지어는 동일인의 양쪽에서도 수술결과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흉부교감신경줄기를 거치지 않는 쿤츠씨 신경 및 하행 혹은 상행 교통가지를 차단하지 못할 경우 재발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태성 수부다한증에 대한 흉부교감신경절 교통가지절제술 시 수술결과의 차이를 줄이고 재발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제3흉부교감신경절에서 제3늑간신경으로 연결되는 교통가지들을 절제함과 동시에 제2늑골 위에서 쿤츠씨 신경을 절단하고 제3, 4늑골 위에서 제2, 3, 4흉부교감신경절로부터 제3, 4늑간신경으로 각각 연결되는 상행 및 하행 교통가지들을 모두 절단해주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J Surg Res v.40 The high thoracic sympathetic nerve system-its anatomic variability van Rhede van der Kloot E;Drukker J;Lemmens HAJ;Greep JM. https://doi.org/10.1016/0022-4804(86)90111-3
  2. Arch Surg v.62 Observations on the gray and white rami communicantes in human embryo Pearson AA;Eckhardt AL. https://doi.org/10.1001/archsurg.1951.01250030619001
  3. J Anat v.80 Sympathetic rami in man Pick J;Sheehan D.
  4. Arch Surg v.15 Distribution of the sympathetic rami to the brachial plexus: its relation to sympathectomy affecting the upper extremities Kuntz A. https://doi.org/10.1001/archsurg.1927.01130240044003
  5. Arch Surg v.61 Surgical implications of lower thoracic and lumber independent sympathetic pathways Kuntz A;Alexander WF. https://doi.org/10.1001/archsurg.1950.01250021017003
  6. Anat Rec v.138 Surgical implications of upper thoracic independent sympathetic pathways Ehrlich E;Alexander WF. https://doi.org/10.1002/ar.1091380205
  7. Ann Surg v.145 The identification of sympathetic segments Pick J. https://doi.org/10.1097/00000658-195703000-00009
  8. Anat Rec v.113 Sympathetic components of the dorsal primary divisions of human spinal nerves Dass R. https://doi.org/10.1002/ar.1091130410
  9. Sympathectomy Monro PAG.
  10. J Thorac Cardiovasc Surg v.123 Anatomic variations of the T2 nerve root (including the nerve of Kuntz) and their implications for sympathectomy Chung IH;Oh CS;Koh KS;Kim HJ;Paik HC;Lee DY. https://doi.org/10.1067/mtc.2002.119340
  11. Ann Chir Gynaecol v.90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ympathetic ramicotomy for hyperhidrosis - A way to reduce the complications Cheng YJ;Wu HH;Kao EL.
  12. Ann Thorac Surg v.64 Thoracoscopic sympathectomy for upper limb hyperhidrosis: Looking for the right operation Gossort D;Toledo L;Fritsch S(et al.) https://doi.org/10.1016/S0003-4975(97)00799-6
  13. 대흉외지 v.32 안면부 다한증 환자의 제2흉부 교감신경절단술 성숙환;김태헌
  14. 대흉외지 v.31 수장부 다한증에서 제2번 및 제2, 3번 흉부 교감신경절 차단술의 비교 성숙환;조광리;김영태;김주현
  15. 대흉외지 v.32 수부 다한증에서 흉부 3번 교감 신경 차단수술의 효과 김광택;김일현;이송암(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