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for Diffusion Expression Power - focused on the students are majoring design -

확산적 표현력 계발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 연구 -디자인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 강덕구 (광주대학교 예술대학 디자인학부)
  • Published : 2003.05.01

Abstract

The diffusion expressive power means the flexibility of which creative power test spheres(fluency, originality) by Torrance is ability making the considerations, thoughts and concepts to the meaningful symbolic change. This study is willing to develop and improve program toward the diffusion expressive power and is to testify training effect of the students are majoring design with the object. The training programs composed of six levels which is based on the theory of Eskild Tjalve. And the parameters of each levels are element, function, number, arrangement, form geometric, size and have to practice 2 weeks at once by 12 weeks. For successful measuring the effective results of this study, 40 undergraduate juni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sign are grouped to excercise with experimental pilot group and regulated group. The standard type of creative paper is used to evaluate the results of student's training. This study give proof that creative power of the experimental pilot and under training group is higher than the regulated and under comparison group at in the conclusion.

확산적 표현력은 사고나 사상, 개념 등을 여러 개의 다른 의미를 지닌 상징으로 전환하여 표현해 내는 능력으로 Torrance의 창의력 검사영역(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중 융통성에 해당되는 표현의 넓이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확산적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디자인을 전공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훈련의 효과가 있는가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훈련 프로그램은 Eskild Tjalve의 이론을 기초로 6개의 단계로 되어 있으며, 단계별 매개 변수는 element, function, number, arrange, form geometric, size이며 각 단계는 2주씩 훈련하도록 하여 총 12주로 구성하였다. 연구는 산업디자인과목 수강 대학생 저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40명을 선정하고, 연구의 결과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훈련을 수행하였다. 학습자들의 학습결과를 객관적으로 평가를 위해 표준화된 창의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서 개발된 훈련 프로그램은 훈련 대상자인 실험집단이 비교대상인 통제집단보다 창의력 향상이 높게 나타났으며 훈련의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