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종합운동장의 환경색채 디자인 개발 연구

  • Published : 2003.05.01

Abstract

There are various schemes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a rir in which we dwell. Among them environment color is one of formative elements that compose a city environment, the recognition about it is coming to be high gradually. A stabilized appropriate color of city environment gives a psychological social cultural effect to the people and also can be a useful method even in public information of city image, To give a citizen sensitive aesthetic and emotional satisfaction, a systematic rational design approach is necessary in an environment color plan. Hereupon, this study suggests one model of a concrete substantial color design through analyzing a present condition, for example, an existing environment, a case study about similar space, and a question investigation for finding out preference image and applying them to the color design. Through a rational systematic environment color design one can expect several effects making identity in a region, increasing a peculiar image or unity reinforcement by total application of color scheme, creating a visual environment with aesthetic characteristic, and efficiency of continuous color management system.

우리가 거주하는 도시의 환경을 개선하는데는 여러 가지 방안이 있다. 그 중 환경색채는 도시환경을 구성하는 조형요소 중 하나로서 그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안정되고 적절한 도시환경의 색채는 사람들에게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도시의 이미지 홍보에도 유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도시민들에게 감성적, 미학적, 정서적 만족을 주기 위해서는 환경색채 계획에 대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디자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환경색채디자인을 함에 있어 기존환경 및 사례조사, 이미지 설정을 위한 설문조사 등의 현황 조사를 면밀히 분석하여 지역환경개선을 위한 환경색채계획에 적용함으로써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색채디자인의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환경색채 디자인을 함으로써 지역의 아이덴티티 형성, 색채의 통합적 적용으로 고유 이미지 제고 및 통일성 강화, 미적 특성을 살린 시각환경 조성, 그리고 지속적인 색채관리의 효율성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