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ively Grown ALGaAs/GaAs Multilayers and InGaAs/GaAs Quantum Wire Structures Grown by Low Pressure MOCVD

선택적 에피 성장법에 의한 GaAs/AIGaAs 다층구조 및 InGaAs/GaAs 양자세선의 성장 및 photoluminescence 연구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Using low pressure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we have developed selectively area epitaxy (SAE). Using the developed SAE technology, we have grown AlGaAs/GaAs multi layers and InGaAs/GaAs quantum wire structures on the selectively $SiO_2$ masked GaAs substrates. We have obtained triangular shaped AlGaAs/GaAs and InGaAs/GaAs structures with sharp tips and smooth sidewalls. To rod the optimum conditions, several growth parameters such as growth rate, V/III ratio, growth temperature, and direction of the opening stripes were investigated. The emission peak from quantum wires was observed at 975 nm. With increasing of temperature the emission intensity from side wall quantum wells decreased abruptly. But the intensity from Quantum wires decreased slowly compared to that of side wall quantum wells and it became even stronger from above 50 K.

저압 MOCVD 장치를 이용하여 선택적 에피 성장 (selective area epitaxy) 기술을 개발하고, 이 기술을 이용하여 InGaAs/GaAs 양자세선(quantum wire) 구조를 성장하였다. $SiO_2$로 선택적으로 마스킹 된 GaAs 기판위에 AIGaAs/GaAs 다충 구조 및 InGaAs/GaAs 양자세선 구조를 저압 MOCVD 방법으로 성장하였다. 매끄러운 사면을 갖고 끝 부분이 뽀쪽한 삼각형 구조의 양자세선 구조가 선택적 에피 성장법에 의해 자발적으로 형성되었다. 선택적 에피층 성장을 위한 최적 조건을 알기 위해 먼저 GaAs/AlGaAs 다층구조에 대하여 여러 가지 성장변수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성장 변수들은 성장률(growth rate), V/III 비 및 성장온도, 패턴의 정렬 방향 등이다. 양자세선에서 나오는 발광은 975 nm로 분석되었다. 측정 온도가 증가됨에 따라 삼각형 구조의 사면의 양자우물에서 나오는 발광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양자세선에서 나오는 발광은 양자우물에서 나오는 발광에 비해 서서히 감소하였고, 50 K 이상의 온도에서는 양자세선에서 나오는 발광의 세기가 더 커졌다.

Keywords

References

  1. Phonons in Semiconductor nanostructures E.Kapon;M.Walther;D.M.Hwang;E.Colas;C.Caneau;R.Bhat;J.P.Leburton(ed.);J.Pascul(ed.)
  2. J. Appl. Phys. v.80 Y.Kim;S.Yuan;R.Leon;C.Jagadish;M.Gal;M.Johnston;M.Phillips;M.S.Kalceff;J.Zou;D.Cockaqyne https://doi.org/10.1063/1.363546
  3. Semicon. Sci. Technol. v.11 T.G.Kim;J.H.Park;Y.Kim;S.I.kim;C.S.Son;M.S.Kim;E.K.Kim;S.K.Min https://doi.org/10.1088/0268-1242/11/8/017
  4. Appl. Phys. Lett. v.68 M.Kappelt;M.Grundmann;A.Krost;V.Turck;D.Bimberg https://doi.org/10.1063/1.116649
  5. J. Crystal Growth v.145 K.Shimoyama;N.Hosoi;K.Fujii;H.Gotoh https://doi.org/10.1016/0022-0248(94)91064-2
  6. J. Crystal Growth v.123 M.S.Kim;C.Caneau;E.Colas;R.Bhat https://doi.org/10.1016/0022-0248(92)90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