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디자인(Good Design)의 재해석 - 람스(Rams)와 노만(Norman)의 굿디자인 비교를 중심으로

The Reinterpretation of Good Design - The Comparison between Rams and Norman

  • 발행 : 2003.11.01

초록

20세기 초 영, 독일의 미술과 공예협회인 독일 베르크분트(Deutcher Werkbund)로부터 산업제품을 위한 디자인 표준화의 제기와 기능주의의 새로운 미를 적용하려는 노력은 시작되었다. 같은 맥락에서 1919년 독일의 바우하우스(Bauhaus)에 의해 굿디자인은 기술과 예술의 혼합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현대적 개념의 디자인이 그 뒤를 이었다. 1950-1955년, 뉴욕 MOMA(Museum of Modem Art)에 의해 행해진 소비자 교육프로그램인 굿디자인(Good Design) 전시회에 의해 그 용어는 현대적으로 사용되었으며, 굿디자인의 임무는 모던디자인을 일반대중에게 인식시키는 것이었다. 20세기 후반 이후 많은 전문가들은 각기 독특한 입장에서 굿디자인을 다양하게 정의하기 시작하였다. 그 정의는 디자이너, 기술자, 생산자, 비즈니스맨, 소비자들에게 이르기까지 각 영역의 특성에 맞게 해석되어 적용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디자인 학자인 람스(Rams)와 노만(Norman)은 물리적, 심리적인 관점으로부터 굿디자인을 해석하고 있으며, 기능, 미, 테크놀로지, 등에 관련해 구체적으로 굿디자인의 표준과 올바른 접근방향을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굿디자인의 역사적 고찰과 정의 및 람스와 노만의 주장을 비교와 분석을 통해 굿디자인의 세부적인 기준과 정의의 관계를 정립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그들이 주장하는 물리적, 심리적으로 접근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이 굿디자인임을 찾고자 하였다.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efforts for design standards for industry and the new aesthetic of Functionalism began from the Deutcher Werkbund, an English German Association of Craftsmen. In the similar vein, the Bauhaus, founded in 1919 at Weimar, provided the definition of Good Design, as a contemporary concept, that combines art with technology. From 1950 to 1955, the modern usage of the term 'Good Design' was derived from a series of exhibitions and consumer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by the MOMA(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The mission was to bring modern design to the attention of the general public. From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many specialists in different areas, such as designers, manufacturers, enterprises, and scholars, began to give various definitions of 'Good Design'. That's why it could be interpreted and applied to unique and various methods by them. Meanwhile, Rams and Norman argued that the Good Design has to be not only considered within function, aesthetic, technology, etc, but also interpreted from both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point of views.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the definition of Good Design in detail, and to figure out that the user-centered design from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approaches is eventually synonymous to 'Good Desig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