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lamydospores of Cylindrocarpon destructans Causing Root-rot of Panax ginseng

인삼 뿌리썩음병균 Cylindrocarpon destructans 후막포자의 형태적 특성

  • Cho, Dae-Hui (Agro-Tech Research Group, KT&G Central Research Institute) ;
  • Yu, Yun-Hyun (Agro-Tech Research Group, KT&G Central Research Institute) ;
  • Kim, Young-Ho (School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조대휘 (KT & G 중앙연구원 원료연구소) ;
  • 유연현 (KT & G 중앙연구원 원료연구소) ;
  • 김영호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Chlamydospore formation from mycelia and conidia of Cylindrocarpon destructans isolated from the root rot lesion of the Panax ginseng was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and light microscopy. Typical chlamydospores were formed only from hyphae but not from conidia on culture media. However, immature chlamydopspore-like cells were formed from microconidia after 12 days of incubation at 20$^{\circ}C$ on Czapek Dox broth (CDB) adjusted to pH 4.0. Chlamydospores were yellowish or reddish brown in color, and produced singly or in chain with the hyphal intercalary or terminal position on potato-dextrose agar, V-8 juice agar and CDB with no addition of nitrogen sources after 16∼20 days of incubation at 20$^{\circ}C$. They were 11.3 to 11.9 $\mu\textrm{m}$ in diameter, having many lumps-like warts on their surface with the length of 1.5 to 1.8 $\mu\textrm{m}$.

인삼 뿌리썩음병균 Cylindrocarpon destructans의 후막포자형태에 대해서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전형적인 C. destructans의 후막포자는 균사로부터 형성되었으나 분생포자에서는 생성되지 않았다. 그러나 pH 4로 조절된 Czapek Dox broth에서 2$0^{\circ}C$, 12일간 배양하였을 때는 소형분생포자가 미성숙한 후막포자 유사세포로 변형되었다. 후막포자는 potato dextrose agar 및 V-8 Juice agar 그리고 질소원이 결제된 Czapek Dox broth배지에서 2$0^{\circ}C$, 16∼20일 배양으로 생성되었고, 생성된 후막포자는 황갈색 혹은 적갈색을 띄었으며 균사의 중간이나 말단 부위에서 한 개 혹은 사슬형태로 존재하였다. 후막포자는 직경이 11.3∼11.9 $\mu\textrm{m}$이었으며 외부에 1.5∼1.8 $\mu\textrm{m}$ 길이의 혹 같은 돌기가 여러 개 형성되어 표면이 울퉁불퉁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Chung, H. S. : Studies on Cylindrocarpon destrutans (Zins) Scholten causing root rot of ginseng. Rept. Tottori Mycol. Inst. (japan) 12, 127-138 (1975)
  2. 오승환,유연현,김기황,조대휘 : 인삼 토양 병해충 방제 및 농약주개발 연구.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한국인삼연초연구원 123-158 (1992)
  3. 조대휘,박규진,유연현,오승환,이호자 : Cylindroearpon destructans (Zinssm.) Scholten에 의한 연작지 2년근 인삼 의 근부병 발병특성. 고려인삼학회지 19(2), 175-180 (1995)
  4. 유연현,백종운,김기황,조대휘 : 근부관련 인삼연작장해 해 소 실용화 및 주요 병해 충 방제연구.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한국인삼연초연구원 77-150 (1999)
  5. 유연현,조대휘,백종운 : 근부관련 인삼연작장해 해소 실용 화 및 주요 병해충 방제 연구. 인삼연구보고서 (재배분야),한 국인삼연초연구원 77-165 (2000)
  6. 유연현,조대휘,강제용 : 인삼 뿌리썩음병의 종합적 방제 System 개발연구.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p. 51. (주) KT & G 중앙연구원 (2002)
  7. 조대휘 , 유연현,오승환,이호자 : 인삼 근부병균 Cylindro em$\phi$on destruetans (Zinssm.) Scholten의 포자형성 에 미치 는 배양기간, 온도, pH의 영향. 고려인삼학회지 20(1), 8895 (1996)
  8. 조대휘, 유연현, 오승환, 이호자 : 인삼 뿌리썩음병균 Cylindrocarpon destructans (Zinssm.) Scholten의 균사생육과 포자형성에 미치는 탄소원과 질소원의 영향.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3(1), 30-36 (1997).
  9. 조대휘,유연현,오승환 : 기중균사 제거와 광처리가 인삼 뿌 리썩음병균 Cylindrocarpon destruetans의 대형분생포자 및 후막포자 생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인삼학회지 23(3), 123- 129 (1999)
  10. 조대휘,유연현 : 초음파처리에 의한 인삼 뿌리썩음병균 Cylindrocarpon estmctans 후막포자의 분리 . 고려 인삼학회 지 24(2), 53-57 (2000)
  11. 조대휘 ,유연현 : 인삼 뿌리썩음병균 Cylindrocarpon destructans 후막포자 발아에 미치는 배양옹도 및 pH의 효과. 고려 인삼학회지 25(3), 136-140 (2001)
  12. 조대휘,안일평,유연현,오승환,이호자 : 배양기간, 온도, pH가 인삼 근부병균 Cylindrocarpon, destructans (Zinssm.) Scholten의 균사생육에 미치는 영향. 고려인삼학회지 19(2), 181-187 (1995)
  13. Samuels, G. and Brayford, D. : Variation in Nectria radicicola and its anamorph, Cvlindrocarpon destructans. Mycol. Research 94(4), 433-442 (1990)
  14. Booth, G.: The genus Cylindrocarpon, Commonwealth Mycology papers No. 104, 1-56 (1966)
  15. Domsch, K. H., Gams, W, and Anderson, T-H.: Nectria radicicola gerlach & L. Nilsson. p. 503-508 In: Compendium of soil Fungi. Volume 1. Academic press, New York (1980)
  16. 조대휘, 유연현, 오승환, Jennifer L. Parke: 미국삼(Panax quinquefolium)에서 분 리한 뿌리썩음병균 Cylindrocarpon destructans의 후막포자 생성 및 분리. 고려인삼학회지 22(4), 304-309 (1998)
  17. Scholten, G. : Nectria radicicola en Thielaviopsis basicola als parasiten van Cyclamen ercicum. Neth. J. Plant Path. 70, Suppl. 2, 61-68 (1964)
  18. Zinssmeister, C. L.: Ramularia root rot of ginseng. Phytopathology 8, 557-571 (1918)

Cited by

  1. Isolated from Ginseng in Korea vol.44, pp.1, 2016, https://doi.org/10.5941/MYCO.2016.44.1.63
  2. vol.45, pp.3, 2017, https://doi.org/10.5941/MYCO.2017.45.3.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