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ormance Analysis of Adaptive Corner Shrinking Algorithm for Decimating the Document Image

문서 영상 축소를 위한 적응형 코너 축소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

  • 곽노윤 (천안대학교 정보통신학부)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performance analysis of the digital document image decimation algorithm which generates a value of decimated element by an average of a target pixel value and a value of neighbor intelligible element to adaptively reflect the merits of ZOD method and FOD method on the decimated image. First, a target pixel located at the center of sliding window is selected, then the gradient amplitudes of its right neighbor pixel and its lower neighbor pixel are calculated using first order derivative operator respectively. Secondly, each gradient amplitude is divided by the summation result of two gradient amplitudes to generate each local intelligible weight. Next, a value of neighbor intelligible element is obtained by adding a value of the right neighbor pixel times its local intelligible weight to a value of the lower neighbor pixel times its intelligible weight. The decimated image can be acquired by applying the process repetitively to all pixels in input image which generates the value of decimated element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target pixel value and the value of neighbor intelligible element.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proposed method and conventional methods in terms of subjective performance and hardware complexity is analyzed and the preferable approach for developing the decimation algorithm of the digital document image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result has been reviewed.

본 논문은 중심 화소값과 인접 가해 성분값의 평균으로 축소 성분값을 산출함으로써 ZOD(Zero Order Decimation)와 FOD(First Order Decimation)의 장점을 적응적으로 반영한 디지털 문서 영상 축소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안된 방법은, 슬라이딩 윈도우의 중앙에 위치되는 중심 화소를 축소 성분값의 주성분으로 선택하고, 1차 미분 연산자를 이용하여 중심 화소의 우측 및 하측 인접 화소의 기울기의 크기를 각각 계산한다. 이후, 두 기울기의 크기를 합산한 결과로 각 기울기의 크기를 나누어 우측 및 하측 인접 화소 각각의 국부 가해 가중치를 구한다. 다음으로, 각각의 국부 가해 가중치를 우측 및 하측 인접 화소값에 곱한 후에 그 결과를 합산함으로써 인접 가해 성분값을 산출한다. 이렇게 구한 인접 가해 성분값과 중심 화소값을 평균하여 축소 성분값을 구하는 과정을 입력 영상의 모든 화소들에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축소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관적인 성능과 하드웨어 복잡도 측면에서 제안된 방법과 기존의 각 방식에 대한 성능을 분석했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개선된 디지털 문서 영상 축소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한 바람직한 접근법에 대해 고찰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