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Digital Curture Contents Production

디지털 문화컨텐츠 제작을 위한 발전 방안 연구

  • 박만수 (남서울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
  • 노현준 (남서울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
  • 방기천 (남서울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e industry of digital culture contents has resulted in the high growth of added value at the area of game and movie in 2004 but the markets of animation character, and music disc have been weaken. Animation industries in Digital culture contents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people as the business of multi culture contents which has the possibility to expend and to enhance the added value nut only for the field of image and character business but also for the area of the copy right on. The stable structure of market, however, has not been settked down except a few of successful projects due to the rapid decline of 2D animation and the strong market of 3D in overs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research the basic logic of the market structure at the domestic business of 3D animation. In addition this paper is to suggest an alternative in terms of benchmarkin in overseas. It could be expected to achieve the effective production in this field, if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the related world as a development model at the area of 3D animation in digital culture contents.

2000년 디지털 문화컨텐츠산업 현황은 게임과 영화부분에서 상당한 고부가가치 성장을 하였으나, 애니메이션 및 캐릭터, 음반 시장은 경기 침체로 둔화된 모습을 보였다. 디지털 문화컨텐츠산업 중에서도 애니메이션 산업은 영상과 캐릭터 관련 사업의 영역뿐만이 아니라 저작권 사업영역 까지도 확장성과 막대한 부가가치 증대 가능성이 높은 다중문화컨텐츠 사업으로 업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2D애니메이션의 급격한 하향세와 해외 3D애니메이션의 강세로 소수의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제외하고는 아직 안정적인 시장구조가 연계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3D애니메이션 산업에 시장구조의 근본논리를 찾아내서 분석하고 조사하여 해외 벤치마킹을 통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디지털 문화컨텐츠 산업의 3D 애니메이션 분야의 발전 연구 방법의 모델로서 업계에 적용한다면 효과적인 제작이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