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actors that make busy of Street space - Focused on a Comparison between the Pedestrian Mall of Korea and Japan -

가로공간의 번화함을 만드는 요소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번화가 보행공간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 이재원 (울산대학교 디자인대학)
  • Published : 2004.02.01

Abstract

The study compares busy streets with the ones that are not and finds out what makes people think the street is busy. Based on this comparison and analysis, the study reflects on measures to make streets busy. First of all, busy streets are classified into three parts: shopping zone, business zone, and the combination of the two. The study analyzes whether the street is busy due to the certain system or structure of the street or it is busy due to certain design of the street, and the analysis is done in those three categories mentioned above.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busy street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in both Korea and Japan. Physical factors that turn ordinary streets into busy ones are focused and analyzed. The visual perception is analyzed. As a result,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designs of physical factors of streets in both countries are discovered. Ideal arrangement and design of physic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making of busy streets are also found. Based on these data, design that makes busy street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is presented here.

본 연구는 번화하다고 이야기 할 수 있는 가로가 번화하지 않다고 불리어지는 가로와 비교해서 어떠한 것들이 다르기 때문에 번화한 가로라고 인식되어지는지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번화함이 있는 가로를 형성하는 수법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우선, 번화하다고 불리어지는 가로의 특성을 상업지역, 업무지역, 그리고 상업과 업무가 섞여있는 복합지역의 가로로 구분하였다. 이렇게 구분된 가로에서 번화함을 만드는 요소가 특정한 가로구조에 의한 것인지, 가로의 개성이 분명히 나타나는 보행공간의 디자인요소에 의한 것인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방법과 범위는 한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각각 유사한 성격을 가진 지역에서 번화하다고 불리어지는 가로를 대상으로 하여 기본적인 가로의 구조와 보행공간 안에서 가로를 번화하게 만드는 요소들 중에서 대표적인 물리적요소를 중심으로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과 일본에서 가로의 특성에 따른 보행공간의 물리적인 요소의 디자인수법의 유사한 점과 차이점을 알아 낼 수 있었고 보행공간의 번화함을 만드는 물리적인 요소들을 어떻게 디자인하거나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도 찾아 낼 수 있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가로의 특성에 따라 번화함이 있는 가로의 조성을 위한 보행공간의 기본적인 형성수법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