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Interaction Model for Implementation of Richmedia Contents

리치미디어 컨텐츠 구현에 있어 상호작용 모델

  • 김민수 (한림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웹서비스 및 디지털컨텐츠전공)
  • Published : 2004.02.01

Abstract

The web as a sign synthesis text has become a kernel for incorporeal knowledge as well as a communication model through the ubiquitous environment all over the world. The evaluation of the communication model, which is essential for the information structure, acts as an important basis on determining the quality of the web contents.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the progress of the communication of semantic meaning in the construction of the information structure was analyzed in views of the form, the function, and the emotional effect of the rich media contents of the web. The transformation process from the initial access elements through the final selection elements was suggested as the communication model and the effects of the function of the information in the web on the process was assessed by the engineering and linguistic models of Shannon, Weaver, and Roman Jakob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nvironments such as the speed, the memory space, data compression technique, and data filtering have influences on the web contents express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communication model in connection with the environments is the basis in the information structure.

기호 통합 텍스트로서 웹은 "정보"라는 무형의 지식개념을 위한 핵심적 플랫폼으로 전 세계에 걸쳐 유비쿼터스 환경을 기반으로 광범위한 소통모델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소통과정의 파악은 정보구조 조직화시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늘어만 가는 정보의 양적 팽창과 더불어 컨텐츠 질을 결정 하는데 주요한 기준으로 작용되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공학적, 언어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웹 사이트내에서 리치미디어 컨텐츠들의 형태, 기능, 감성적 측면을 중심으로 컨텐츠 조직화시 어떠한 방식으로 의미적 소통을 행하는지 그 추이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웹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들의 접근요소에서 인터페이스 최종 귀착지까지의 과정을 통해 그 변화과정을 소통모델로 재인하고 그 과정 중에 나타나는 정보기능에 중점을 두어 고찰하였다. 방법적인 측면으로 쉐논과 웨버 모델의 기능특성과 야콥슨 모델의 네 가지 기능(교감, 지시, 시적, 메타언어적)을 중심으로 정보 소통 시 웹 컨텐츠에 적용되어질 수 있는지에 관하여 그 가능성의 도출 작업을 수행한다. 웹이라는 신지형의 구조에서 속도, 저장 공간, 압축기술, 정보여과 과정과 같은 새로운 개념들은 의사소통의 채널로 작용하는 웹이 표현되어지는 컨텐츠의 양식 변화에 많은 부분 영향을 미침으로써 컨텐츠 표현에 있어 통합매체의 소통환경을 파악하는 것은 컨텐츠 조직화시 정보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