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Design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ovies -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Expressive of the Illusionist -

영화의 특성 분석에 따른 공간디자인의 표현방법 - 환영성 표현 특성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4.02.01

Abstract

Space design in the 21st century has been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media more various than ever. In the age of image represented by popular culture, space design connected with media is based on post-reason thoughts constituting the post-modern society, and reflects polysemously and pluralistically changes in the society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art with life. The movie, which is an image perceived particularly sensibly and the most impractical simulated image among various illusionary media images composing the contemporary society, is growing rapidly in interrelation with various fields of art based on its peculiar nature, and its influence is getting more extensive. The movie manipulates mass society to create what does not exist and restore lost images into new realities through the reproduction of extremely realistic senses, and uses them in establishing virtual realities and creating illusionary images representing the age of simularc. The illusionary expression of the movie produces new meanings through disintegrating existing meanings and recombining them, and expresses popular culture from a position closest to our everyday life. Such an analytical attitude toward the illusionary movie reflecting our society can be a new approach to space design.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uch an illusionary characteristic of the movie as a methodology of space design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 as a conceptual language of space design.

21세기의 공간 디자인은 그 어느 시기보다도 다양한 미디어와의 관계 속에서 전개되고 있다. 대중문화로 대변되는 이미지의 시대에 미디어와 관계한 공간 디자인은 포스트 모더니즘 사회를 이루는 탈 이성적 사고에 기반을 두며 예술과 삶의 동질화를 통해 사회의 변화를 다의적이고 다원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현대사회를 이루는 다양한 환영주의적 미디어 이미지 중 특히 감각적으로 지각되는 이미지이며 가장된 비 실재적인 이미지인 영화라는 매체는 본연의 특별한 속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예술분야와 상호 연계를 맺으며 급속히 성장하였고 그 파급효과도 놀랄 만큼 커지고 있다. 영화는 극명한 현실감의 재현을 통해 실재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만들어 내고 의미 잃은 이미지들의 새로운 실재를 구성하기 위해 대중사회를 조작하고 이는 가상현실의 세계를 구축하는 요소로 작용하며 시뮬라르크 시대를 대변하는 환영성의 이미지를 창조해 나간다. 영화의 이러한 환영적 표현은 의미들에 대한 새로운 해체와 재 조합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생산하고 우리의 일상적인 삶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대중문화를 총체적으로 표현한다. 이렇게 우리사회의 반영인 영화 환영성의 대한 분석적 태도는 공간 디자인의 관계에서도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시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영화의 환영성의 특징이 공간에서 영화와 공통적으로 도출되는 디자인적 개념언어로 활용되어 공간디자인의 한 방법론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