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yber world of the Matrix as a typical type of 'Simulacre'

시뮬라크르의 전형(典型)으로서 매트릭스(Matrix)의 가상 세계

  • 이종한 (호서대학교 디지털문화예술학부 애니메이션전공)
  • Published : 2004.02.01

Abstract

Matrix, produced by Larry & Andy Wachowski, was relatively precisely dealt with the cyber world. After the movie was released, it had a mania for the movie and was adopted into a various forms of cultural products. It was remade not only into the parodies of the other movies and TV programs, but also the clothes and miscellaneous items of the movie were reincarnated as an unique cultural trend. The cause of the popularity is the fresh storyline as well as the sophisticated visual effects and good-looking actors. The agony of the protagonist was connected with the people outside the movie who are yearning for the ideal world. He was confused at the fact that his circumstances which were believed as the real world were not tortally true, complicated between the sensually phisical truth and the spiritual truth and had an will for the freedom that would ransack the truth and save the other people from the fictitious world. Consequently, the movie has got sympathies with many audiences suggesting the situation that has no a firm belief of the realit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 and the cyber world is meaningless and the faked images of the high-technology are overturned This thesis tries to study the present that the real images are excessly duplicated and consumed, related to the Jean Baudrillard's theory, 'Hyperreel'. Replaced the real objects by a technical programming in the Matrix world, there happens the image-violence that the true nature is slaughterred by images. In the world where the reproducts are more actual than the reality and pretends to be real, only semiotics are consumed and produced. That is to say, the tortally programmed images has no references and aims, therefore should be produced in an 'impediment-strategy' like a faked crisis. That is the step of 'Simulation' that artificially reincarnates the real. Based upon the Baudrillard's theory, 'Simulacre', this study tries to research today's post-modern situation that the boundary of the real world and the faked copy is vague and vanish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yber world of the movie 'Matrix'.

가상현실을 비교적 치밀하게 다룬 워쇼스키 형제 감독의 영화 ‘매트릭스(Matrix)'는 영화 개봉 이후 많은 매니아 층을 확보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문화 상품으로 차용되었다. 여타의 영화나 방송 프로그램에서 패러디됨은 물론이고 영화 속에 차용된 의상이나 소품 등은 문화의 트렌디로 상품화되었다. 이런 인기의 원인은 영화의 세련된 영상미와 주인공들의 매력적인 외모 덕도 있었겠지만, 무엇보다도 영화 내용의 신선함이 많은 반향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주인공이 실재라고 믿어 왔던 세계가 진실이 아니라는 데서 오는 혼동, 그리고 그 진실을 파헤치고 다른 이들을 허상의 세계에서 구원하려는 자유에의 의지, 육체의 감각이 받아들이는 진실과 마음(정신)의 진실들 사이에서 갈등하는 주인공의 모습은 이데아를 갈망하며 살아가는 영화 밖 사람들의 이야기와 맞물려 있다. 결국 실재에 대한 확신이 없어지고 현실과 비현실의 차이가 무의미해진 첨단 기술의 시대의 위조된 이미지의 전복이 일어나는 상황을 제시하면서 많은 이들에게 공감을 얻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것을 쟝 보드리야르가 강조하는 ‘파생실재, 과도실재(hypereel)’와 연관시켜 실재의 이미지가 그 이상으로 과도하게 복사되어 소비되는 현실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매트릭스의 세계에서는 현실의 대상이 기술적인 프로그래밍으로 대체되면서 본질이 이미지에게 살해당하는 이미지 폭력이 일어나고 있다.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재현, 원본 보다 더 원본의 행세를 하는 세계에서는 오로지 기호만 소비되고 생산된다. 즉, 모든 것이 완벽하게 프로그래밍 되고 조작되는 이미지들은 지시 대상, 즉 목적이 없기 때문에 조작된 위기와 같은 저지 전략으로 생산된다. 그것이 실재를 인위적으로 부활시키는 시뮬라시옹의 단계인 것이다. 본 연구는 매트릭스의 가상 세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실과 위조된 모사 사이의 경계가 흐려지거나 사라진 현재의 포스트모던적 상황을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 이론에 기반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