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Visual Factors of Outdoor Signboards on Value Judgement - Focused Around the Signboards of Merrymaking Salons in 4 Areas of Busan -

옥외간판의 시각적 요소가 소비자 가치판단에 미치는 영향 -부산 4개 지역의 유흥업소 간판을 중심으로 -

  • 심미영 (동서대학교 디지털디자인 대학원) ;
  • 안병진 (동서대학교 디지털디자인학부) ;
  • 이진호 (동서대학교 디지털디자인학부)
  • Published : 2004.05.01

Abstract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influences exerted by the visual elements of outdoor signboard on consumers' capacity to make judgment on values. Therefore, it intends at studying the values displayed by signboards. As the phase one of the investigation, on-site study has been performed to photograph signboards of the entertainment and amusement business premises in 4 regions of Busan, thus to investigate and analysis the photographed data. For the second phase, survey was peformed on the basis of the analyzed data to select 15 signboards to be used in making judgement of values based on results of frequency measure per each category of geographical region, business type and three grades of the high, medium and low. In the third phase, survey was peformed on the items of value (A-G) to analyze consumer values. Finally, the fourth phase was carried out to compare and analyze the actual values of business premisses against that of the consumers. The result of study displayed that the effect exerted by visual elements of signboards on consumers is not of simple information provision, but is of essential factor to serve as the foundation of added values for business premises.

본 연구는 옥외간판의 시각적 요소가 소비자의 가치판단에 미치는 요인과 영향에 대한 문제를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은 1차 실증 조사에서 부산 4개 지역 유흥업소의 간판을 촬영, 조사, 분석하였다. 2차 설문조사에서는 분석한 자료를 근거로 지역별ㆍ업소별ㆍ상중하별로 분류 빈도 측정치에 근거 가치판단에 사용할 간판 15개를 선정하였다. 3차 가치항목(A-G)에 대한 설문을 조사하여 소비자 가치를 분석하였다. 4차 소비자 가치와 실제 업소의 가치를 비교 분석하여 결론을 알아보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판의 시각요소들이 소비자에게 파급되는 효과는 단순한 정보 제공이 아닌 업소부가가치의 중요한 요소의 근거가 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