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consumer's behavior and classifications by advertising techniques of mobile character

모바일 캐릭터의 광고기법에 따른 타켓별 유형분류와 소비자 반응 연구

  • 강대인 (경운대학교 시각영상디자인학부) ;
  • 주효정 (부산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학부)
  • Published : 2004.05.01

Abstract

The mobile advertisement has varied on lifestyle of people, who live aninformation-oriented society with portable equipment such as web phone an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Also, the advertising has expended mobile techniques and its application field unpredictably. The intrinsic characteristic of misdistribution, reach, and convenience in mobile advertisement add up the capacity of a location, information and individualize. This market condition leads the basic audio focused formal mobile advertisement to the new mobile Internet environment with an additional able of data communication. Moreover, the type of SMS (Short Message Service), Graphic, Wep Push, and ridchmedia, which based on music, basic graphic, voice, and letters transfer by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character is present inevitably correlation with pixel art and animation in 2D(Two Dimensions) techniques. Thus, this research appoints the importance and its role of mobile advertisement that is core of the business marketing in new media era. To activate mobile market, the mobile companies classify the characteristic of consumers with developed commercial use of mobile character and research their behavior to meet optimal mobile character in business.

모바일광고는 이동성을 가진 PDA, 웹폰 등 모든 이동성 기기를 통 털어 정보화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과 생활에 커다란 변화를 일으키며 앞으로 그 변화를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기술과 적용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편재성, 도달성 ,편리성등의 속성을 지닌 모바일광고에 현재는 위치성, 정보성, 개인화가 더해져 단순한 음성통화의 기능만을 한 초기의 모바일광고의 기능에서 데이터 통신의 기능이 첨가되면서 모바일 인터넷 환경을 더욱 발전시키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음악, 그래픽, 음성, 문자 등을 기반으로 하는 SMS 형식, 그래픽형식, 왑 푸시방식의 SMS 형식, 리치미디어 형식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형식 속에 모바일 캐릭터는 2D형식의 픽셀아트 기법과 동영상등의 그래픽 기법으로 뗄레야 뗄 수 없는 상관관계로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뉴미디어 시대의 기업 마케팅에 있어서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모바일 광고속의 모바일 캐릭터의 역할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모바일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마케팅 도구로서의 모바일 캐릭터의 모형들을 현재까지 개발되어 상용화되어지고 있는 이동통신사들의 타켓별 고객서비스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소비자의 반응을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하여 그에 따른 최적의 모바일 캐릭터의 기법을 제안하려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