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igital Space Design Method and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가상현실을 활용한 디지털 공간 디자인 기법과 체계 연구

  • 김연정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환경디자인전공)
  • Published : 2004.08.01

Abstract

The history of design has been closely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digital revolution requires design to be as innovative and inventive as the Industrial Revolution had been. In the current society demanding innovation and a new role for design, a successful result can be obtained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digital and physical environments. In this point of view, exhibition design as a part of space design has had the method of analogue virtual reality, which induces spectators' experiences by creating a virtual environment, as its main expression means before digital technology was introduced. This method was developed from plane images or models to picture techniqu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Nowadays, the exhibition method introducing multimedia, which enables interactions, is being develope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 and role of virtual space in the view of space design and to analyze its functional interaction. Through this, it attempts to actively promote organic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widely used cyber space and traditional space design.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이어져온 디자인의 역사는 디지털 혁명이라는 이름으로 산업혁명에 버금가는 디자인의 혁신과 새로운 역할을 요구하고 있으며, 전통적 인 삶과 생활의 모습의 변화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공간에 대한 다양한 새로운 개념과 체계를 이해하여야 하는데 여 기에 작용하는 주요 변인요소는 디지털기기와 생활양식에 의한 물리적 요소와 디지털 적인 공간적 추상성에 근거한 감성적 요소로 나눌 수 있다. 공간 디자인에 있어 이 두 가지 요소는 연구테마의 중심이 되고 있다.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는 디자인 기법과 방법론이 합리적으로 디자인에 도입되면 디자인의 효율과 성과를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공간디자인 분야에서 다양한 시도가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도들을 공간 디자인(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로서 공간디자인에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적용하는 다양한 방식과 접근방식을 연구하여 공간 디자인의 관점에서 가상의 공간의 의미와 역할을 규정하고 그 기능적 인 상호 작용성에 대한 분석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이미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사이버스페이스와 전통적인 공간 디자인의 유기적인 통합과 발전을 모색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