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Interior Factors in Gyunro-dang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In 14 Facilities at Apartment Complex in Seoul-

경로당 실내환경 평가와 개선방안 -서울지역 아파트 단지 내 14개 시설을 중심으로-

  • 천진희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
  • Published : 2004.08.01

Abstract

This research has been done to evaluate the interior environmental factors in Gyungro-dang to suggest the advanced recommendations for them. For this research, the essential interior elements influencing on elderly's behavior were examined with the developed checklist, the lighting and color conditions of main hall at 14 facilities in Seoul area were analysed, and 124 subjects staying at Gyungro-dang were participated in questionaire survey for color preferences. Results showed that 1.The average installation rate of 39 items in checklist was 59%, the mandatory items such as accessible dimension were considered, but several items related to mobility and safety were not properly installed. Therefore not only guiding handrail and floor block to destination but also elimination of obstacles should be reconsidered. 2.The average of illuminances was 289 Lux dose to standard 300 Lux, but lighting quality was too low to support the activities of elderly users. The lighting control devices, combined lighting sources, and suitable lighting techniques should be applied for those facilities. 3.Most facilities were predominantly in warm colors in hue, medium or high value, low saturation, and natural atmosphere with similarity harmony. The color applications in those facilities were not functional, but similar as color preferences for the elderly except overall atmosphere. It is recommendable to include contrast harmony with classic or romantic mood.

본 연구는 경로당 실내환경 적 요소를 평가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14개 경로당을 방문하여 노인들의 접근성$.$이동성에 주요 영향 인자인 편의요소를 체크리스트에 기초하여 평가하였고, 조명과 색채환경을 조사하였으며, 경로당 이용자 중 124명을 대상으로 색채선호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1. 체크리스트의 39항목에 대한 설치율은 59%였고 접근 허용치수와 같은 의무조항에 대한 이행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동과 안전에 관한 항목은 이행정도가 낮았으므로 유도레일이나 목적지까지의 블록 설치, 장애물 제거 등이 재 고려되어야 한다. 2.평균조도는 기준치 300 Lux에 근접한 289 Lux였으나, 노인들의 원활한 활동을 지원하기에는 조명의 질이 열악하였으므로 질적 향상을 위한 조명조절기구 설치, 다양한 조명원 선택, 적절한 조명부착 및 설치 방법 등 이 적용되어야한다. 3. 대부분의 시설들은 난색상, 중명도나 고명도, 저채도 경향이 짙었으며 유사조화의 내츄럴한 분위기였다. 이는 기능적이라 할 수는 없으나 배색에 따른 분위기를 제외하고는 색채선호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와 상당부분 일치하였다. 따라서 기능성 향상을 위해 대비효과를 좀 더 주고 사용자들의 선호분위기인 클래식이나 로맨틱 이미지를 주는 배색이 권장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