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gil Design and Oullim, the Great Harmony

한글 디자인과 어울림

  • 안상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시각디자인과)
  • Published : 2004.08.01

Abstract

Oullim is Vital principle Which allows humanity to continue its inherent culture. By proposing the evaluative authority of the creative significance of the invention of Hangul and its formation and superiority from the stand point of Oullim, I would like to focus on Hangul's creative significance on the grounds of 'broadly profound design'. The ideas of Hunminchongum's invention id based on the philosophy of Great Absolute. The philosophy of Great Absolute is natural phenomenon and metaphysical understanding of cosmology. But King Sejong could keep a good balance between identity and practicality. It is a high value of Hangul. The main idea of design is seeking for principle of nature and systematical vitality. King Sejong also put this main idea of design in practice for inventing Hunminchongum. In the process, Oullim appeared as an essential function for the Great Design.

오늘날 다원적 가치의 문화 환경에서 '어울림'이란 그 고유한 문화를 지속케 할 수 있는 생명적 원리이다. 글쓴이는 한글창제의 디자인 적 의의와 한글의 조형성과 우수성에 대한 평가 준거를 어울림의 관점에서 제시함으로써 '넓은 뜻의 디자인'이라는 지평에서 '한글의 디자인적 의의'를 조명해 보려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훈민정음 창제의 큰 뜻은 '다름'에 대한 깨달음의 실천, 사람을 '어엿비 여기는' 인본주의적 생각, 배우고 쓰기 '쉬움'에 바탕을 두고 있었고, 철학적 터전은 동양의 근본 사상인 태극 음양오행설에 두었다. 한글이란 사람 소리를 자연 철학적 관점에서 보고 그 소리의 생성과 조직을 음양오행의 역학에서 추출한 성운학 이론과 원리에 따라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글자로 디자인한 것이다. 곧 뜻과 꼴이 맞는 어울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훈민정음 창제를 디자인 적 관점에서 보아, 제 모습 제 말에 어울리는 생명 적이고 질서 있는 시스템이자, 자연 성음의 원리에 맞고, 끝없이 구르고 변통 자재하는 유기적 디자인의 탄생으로 보았다. 나아가 한글 창제에 담긴 넓고 깊은 뜻과 포부가 '어울림'의 뜻에 맞는 완전함을 지향하는 '큰_디자인 짓'으로 규정하고, '어울림' 디자인 가치의 전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훈민정음 창제 정신을 되짚어 보며, 어울림'이 새로운 디자인 사상을 잉태하는 씨앗으로서, 표현적 가치와 잣대로, 또 이 시대의 디자인을 풍요롭게 하는 슬기로 작용하기를 바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