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tand Structure Analysis by the Changing Growth in Korean White Pine Stand

잣나무 임분의 생장변화에 따른 임분구조 해석에 관한 연구 - 강원대학교 학술림을 중심으로 -

  • Jang, Jae-Young (Department of Forest Management,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hin, Hyun-Ji (Department of Forest Management,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Woo, Jong-Choon (Division of Forest Management, Landscape Architecture,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장재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산림경영학과) ;
  • 신현지 (강원대학교 대학원 산림경영학과) ;
  • 우종춘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산임경영.조경학부)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stand structure of the Korean White Pine stand is analysed by the changing growth situation and the growth model for DBH, Height, and Volume per ha, which is estimated with the data collected for Korean White Pine stand in the Research Forests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stimated equations were (1) Y=20.687Ln(X)-50.431 for DBH, (2) Y=12.951Ln(X)-31.225 for Height, (3) Y=171.06Ln(X)-462.16 for Volume per ha. The mean volumes per ha according to the age classes using the estimated equations were $27.45m^3$ $91.05m^3$, $147.71m^3$, $190.03m^3$, $223.84m^3$, $252.01m^3$ and $276.15m^3$ for the age class II, III, IV, V, VI, VII and VIII, respectively. An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 annual increment(MAI) and periodic average increment(PAI) was analysed.

본 연구는 잣나무 임분의 생장변화에 따른 임분구조를 해석하기 위하여 강원대학교 학술림의 잣나무림을 대상으로 임분의 생장변화 및 흉고직경, 수고, ha당 재적에 대한 생장 추정식을 도출 하였다. 즉 잣나무 임목의 흉고직경에 대한 수고와의 상관관계, 흉고직경에 대한 재적과의 상관관계, 수고에 대한 재적과의 상관관계, 수관면적에 재적과의 상관관계가 분석되었으며, 임령에 대한 흉고직경과의 상관관계, 수고와의 상관관계, 단위면적당 재적과의 상관관계 등이 분석되었다. 그리고 흉고직경에 대한 추정식 (1)은 Y = 20.687Ln(X)-50.431으로 나타났고 수고에 대한 추정식 (2)은 Y= 12.951Ln(X)-31.225으로 나타났으며, ha당 재적의 추정식 (3)은 Y = 171.06Ln(X)-462.16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추정식을 이용한 영급별 평균 ha당 재적은 II영급 $27.5m^3$, III영급 $91.1m^3$, IV영급 $147.7m^3$, V영급 $190.0m^3$, VI영급 $223.8m^3$, VII영급 $252.0m^3$, VIII영급 $276.2m^3$으로 산출 되었다. 마지막으로 잣나무 임분에 있어서의 정기평균생장량과 총평균생장량과의 관계가 분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