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stroesophageal Reflux in Mechanically Ventilated Preterm Infants

기계적 환기 요법이 미숙아 위식도 역류에 미치는 영향

  • Ku, Hye Jin (Department of Pediatr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Su Eun (Department of Pediatr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Jae Hong (Department of Pediatr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구혜진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수은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재홍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4.02.26
  • Accepted : 2004.03.22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Purpose: Besides interferencence of esophageal motor function by the nasogastric tube, a decline of the positive gastro-esophageal pressure gradient caused by 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seems to have a major role in the pathogenesis of gastroesophageal reflux (GER) in mechanically ventilated preterm infa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GER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 mechanically ventilated preterm infants. Methods: Twenty four hour esophageal pH monitorings were performed using a antimony electrode on 11 mechanically ventilated preterm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 evaluated the following reflux parameters; reflux index, reflux episodes/hour, reflux episodes ${\geq}5min/hour$, duration of longest episode, and percent episodes ${\geq}5min$. Patients were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 GER if more than 2 among 5 parameters were satisfied. Results: The mean gestational age of the patients was 30.9 weeks, mean birth weight was 1,568 g, and mean age at the time of pH monitoring was 2.8 days. Significant GER was detected in 4 patients (36.4%).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ce of GER and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postnatal age, or the ventilator settings. Conclusion: The incidence of GER in mechanically ventilated preterm infants was similar, compared with other previous studies. Associated risk factors of GER in these patients were not detected. Therefore, mechanical ventilation in preterm infants does not seem to be the high risk factor of GER.

목 적: 기계적 환기 요법 시 삽입된 비위관으로 인한 식도 운동 기능의 저하와 가해진 양압이 위식도 압력차를 감소시켜 미숙아에서 위식도 역류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가 없기에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에서 기계적 환기 요법이 위식도 역류에 미치는 영향과 유발 요인을 조사하였다. 방 법: 2000년부터 2004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신생아 가사 등의 원인으로 기계적 환기 요법을 받은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4시간 식도 산도 측정은 DIGITRAPPER MK III (Synectics Medical AB, Stockholm, Sweden)를 이용하였고, 탐촉자로는 antimony electrode를 사용하였다. 역류의 정도를 알아보는 지표들로는 역류 지수, 역류 횟수, 5분 이상 지속되는 역류 횟수, 가장 긴 역류의 지속 시간, 총 역류 횟수 중 5분 이상 지속된 역류 횟수의 비 등 5개의 지표 중 2개 이상이 기준에 합당할 경우 의미있는 위식도 역류로 정의하였다. 결 과: 전체 환아의 평균 재태 기간은 30.9주, 출생시의 평균 체중은 1,568 g, 검사 당시의 평균 나이는 2.8일이었다. 미숙아 중 4명(남아 3명, 여아 1명)에서 의미있는 위식도 역류가 있었다. 역류가 없었던 군이 재태 기간이 짧았고, 평균 체중이 작았으며, 검사 당시의 평균 나이가 많은 경향은 보였지만 대상 수가 적어 통계학적인 의미를 두기 어려웠다. 의미있는 위식도 역류가 동반된 군과 역류가 없었던 군 사이에 호흡기 설정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위식도 역류를 증가시키는 요인을 발견할 수는 없었으며, 기계적 환기 요법시 위식도 역류의 빈도가 이전 연구들과 비슷한 결과를 보여 기계적 환기 요법이 미숙아의 위식도 역류에 큰 위험 요인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