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ction of Viral Antigens in Stool Using EIA in Hospitalized Children and Clinical Implication

간접 효소 면역측정법을 이용한 입원 환아의 대변에서 바이러스 항원의 검출과 임상적 의의

  • Min, Jung Hye (Department of Pediatrics, Hongik General Hospital) ;
  • Seo, Jeong Wan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Hye Kyung (Department of Microbiology,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민정혜 (홍익병원 소아과) ;
  • 서정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혜경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Received : 2004.08.05
  • Accepted : 2004.09.17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ct viral coproantigens in children who were hospitalized with acute diarrhea and to compare its association with clinical symptoms. Methods: Seventy-four stoo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hildren admitted to Ewha Mokdong Hospital from March 1996 to December 1999. The samples were frozen and analyzed for rotavirus, adenovirus, enterovirus, astrovirus, and calicivirus by enzyme immunoassay (EIA) with monoclonal antibody. 53 stoo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with diarrhea (diarrheal group) and 21 stool samples from patients hospitalized for reasons other than diarrhea (control group). Clinical features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reviewed in both groups. Results: Among 74 stool samples, virus antigens were detected in 60 samples. Of the 60 virus-positive stool samples, 47 enterovirus, 26 rotavirus, 16 adenovirus, 11 astrovirus, and 11 calicivirus antigens were detected by EIA. Of the 60 virus-positive stool samples, 28 samples have one viral antigen, 30 samples have 2 or more viral antigens, and 2 samples showed a simultaneous infection of Salmonella group B and enteroviru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detected virus and clinical features. Conclusion: In this study, viral coproantigen and clinical symptoms were not associated. In the future, further larger scale studies are necessary.

목적: 급성 설사로 입원한 소아의 대변 검체에서 rotavirus, adenovirus, astrovirus, calicivirus 및 enterovirus의 바이러스 항원을 검출하고 임상 증상과의 연관성을 알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목동병원 소아과에 1996년 3월부터 1999년 12월 사이에 입원하였던 소아 74명의 대변을 채취하였는데, 53개는 급성 설사 환자에서 채취하여 이를 설사군으로, 21개는 동일시기에 설사가 없는 타질환으로 입원한 소아에서 무작위로 채취하여 이는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대변 검체는 영하 $20^{\circ}C$에서 냉동 보관 후 단클론 항체를 이용한 간접 효소 면역측정법으로 바이러스 항원 검출을 하였고 각 바이러스 검출과 임상 증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바이러스 항원은 설사군에서 46례와 대조군에서 14례 검출되었다. 이 중 enterovirus 47례, rotavirus 26례, adenovirus 16례, astrovirus 11례, 그리고 calicivirus가 11례 검출되었다. 시기적으로 바이러스 항원은 봄(3>5월)에 많이 검출되었다(63%). 하나의 바이러스 항원이 검출된 경우는 설사군 22례, 대조군 6례로 모두 28례이었다. 바이러스 항원이 동시 검출된 경우는 30례이며, Salmonella group B와 enterovirus의 동시 감염 2례 있었다. 여러 항원이 검출된 30례를 세분하면, 두 종류의 바이러스가 검출된 경우가 15례, 세 종류의 바이러스가 검출된 경우가 11례, 네 종류의 바이러스가 검출된 경우가 2례, 다섯 종류의 바이러스가 모두 검출된 경우도 2례 있었다. 대변에서 바이러스 항원이 동시 검출된 다중성이나 종류에 따른 임상 증상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대변 내 바이러스 항원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이용한 간접 효소 면역측정법으로 검사하였으며, 각 바이러스 항원과 임상 증상과의 연관성은 없었다. 앞으로 더 많은 소아를 대상으로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바이러스 배양 검사 등으로 다양하게 검사하여 소아 설사의 바이러스성 원인과 역학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