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zation Strategies for Establishing City/County Records Centers in Kyonggi Region

특성화에 기반한 시.군 자료관 설립 방안 연구 - 경기도를 사례로 -

  • 김익한 (명지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Received : 2004.05.28
  • Accepted : 2004.06.23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e records centers which belong to specific cities(-shi) or counties(-gun) are different in terms of constituencies and functions with the records centers of any other administrative agen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odels of establishing the city/county records centers reflecting the recordkeeping environment of cities and counties especially located in Kyonggi Region. This present paper begins with analyzing the conditions of records management of cities and counties in Kyonggi Region, and the characterized functions of them. Based on these analyses, it suggests standardized procedures and characterization strategies for establishing city/county records centers.

시 군 자료관은 이용자층이나 운용목표 등에 있어서 공공기관에 설치되는 자료관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시 군 자료관 설립을 위해서는 시 군의 환경 및 시 군 자료관의 특성에 맞는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 군 자료관의 일반적 특성은 물론 각 시 군의 기록물관리 환경을 고려한 설립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경기도 시 군 자료관의 설립 환경을 분석하였다. 기록물관리법에 근거하여 자료관의 개념과 기능을 정리하고, 경기도 시 군 기록물관리 현황을 조사하였다. 둘째, 시 군 자료관에 적합한 단계별 설립모형을 제시하였다. 셋째, 각 시 군이 기록물관리 환경과특성에 맞는 자료관 설립전략을 세우는 데에 도움을 주기 위해 3가지 유형의 자료관 모델을 제시하였고, K시, S시, Y시 등 3개시를 대상으로 이러한 특성화 전략을 적용해 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건홍. 2001. 자료관 현황과 발전전략. 기록보존, 14. 정부기록보존소.
  2. 곽건홍. 2003. 한국 국가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역사비평사.
  3. 김계수. 2002. 지방자치단체의 기록물관리와 보존환경 개선방안.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익한. 2003. 공공기관 KMS와 ERMS와의 통합가능성. 지식연구, 창간호.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5. 김형국. 2001. 자료관 업무 표준안 검토. 기록보존, 14. 정부기록보존소.
  6. 박지태. 2000. 자료관 설치 어떻게 할 것인가. 기록보존, 13. 정부기록보존소.
  7. 박찬승. 1999. 지방기록자료관의 설립방향. 한국국가기록연구원 창립기념 심포지움 자료집.
  8. 박찬승. 2000. 외국의 지방기록관과 한국의 지방기록자료관 설립방향. 기록학 연구, 창간호. 한국국가기록연구원.
  9. 방효순. 2003. 한국 자료관 제도의 역할과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한국문헌정보학회.
  10. 윤여현. 2004. 우리나라 자료관 체제의 특성과 과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1. 이영학. 2003.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립현황과 과제. 제2회 경기기록문화포럼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12. 이원규. 1998. 공공기록물 보존기간 책정론. 기록보존, 11. 정부기록보존소.
  13. 이원규. 2000. 공공기록물의 수집.이관과 아키비스트의 역할. 기록학 연구, 2. 한국국가기록연구원.
  14. 이원규. 2002 . 한국 기록물 관리제도의 이해. 서울: 진리탐구.
  15. 전종호. 2002. 지방자치단체 자료관의 필요성과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지수걸. 2000. 지방자료관 및 기록보존소 설립 촉진 방안. 국가기록관리의 발전방향. 한국국가기록연구원.한국기록관리학회.한국정치학회.
  17. 지수걸. 2001.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기능과 역할. 기록학연구, 3. 한국기록학회.
  18. 지수걸. 2003. 한국의 지방자치와 '기록자치'. '지방분권과 기록자치'를 위한 학술 심포지움 자료집.
  19. 경기도. 2003. "기록물관리 지도.점검표"
  20. 경기도. 2003. "기록물관리 추진실태 조사서"
  21. 행정자치부 정부기록보존소. 2003. "자료관 기록관리 편람"
  22. 행정자치부. 2002. "행정기관의 자료관시스템 규격"
  23. Cox, J. Richard. 1992. Managing Institutional Archives: foundational principles and practices. London: Greenwood Press.
  24. Glliland-Swetland, Anne. 1995. Digital Communications: Documentary Opportunities Not to Be Missed. Archival Issues, 20(1): 39-50.
  25. IRMT. 1999a. The Management of Public Sector Records: Principles and Context. ICA.
  26. IRMT. 1999b. Managing Current Records: A Procedures Manual. ICA.
  27. Kesner, M. Richard. 1998. Archives in the information Society, JANUS, 12: 246-263.
  28. Lowell, Howard. 1997. Building a Public Archives in Delawar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The American Archivist, 60(2): 152-165. https://doi.org/10.17723/aarc.60.2.d2267x2h14117330
  29. Shepherd, Elizabeth and Yeo, Geoffrey. 2003. Managing records: a handbook of principles and practice. London: facet publishing.
  30. Turnbaugh, Roy. 1997. Information Technology, Records, and State Archives. The American Archi- vist, 60(2): 184-200. https://doi.org/10.17723/aarc.60.2.e6247tm502671537
  31. Yakel, Elizabeth. 2003. 아카이브 만들기. 강명숙 옮김. 서울: 진리탐구.